오는 21일부터 23일까지 사흘간 추석 연휴가 시작된다.
그러나 공무원을 제외한 일반 회사의 경우 토요일인 18일부터 일요일인 26일까지 추석연휴를 실시하는 곳이 많으므로 이번 금요일 저녁이면 귀성행렬이 줄을 이을 것으로 보인다.
자식을 기다리는 부모님이 계시는 고향으로 달려갈 생각에 들뜬 사람들은 지금 쯤 부모님께 드릴 선물을 고르느라 행복한 고민을 하고 있을 듯 하다.
그러나 임금을 제때 받지 못한 근로자들의 한숨도 요즘 태풍 피해를 당한 농민들의 상처만큼 깊어지고 있다.
올해 예상되는 체불임금액은 1조원을 넘어 설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체불로 인해 고통 받는 근로자는 모두 18만여명에 달한다. 경기도의 경우 중부지방고용노동청의 집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달 말까지 임금 체불 근로자는 4만3천743명(1천932억7천만원)이라고 한다.
추석을 앞두고 근로자들의 체불문제가 심각한 것은 이들의 표현대로 ‘하루 벌어 하루 먹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이들의 사정은 절박하다. 보도에 따르면 추석을 앞두고 임금 체불로 인한 근로자들의 분신 시도나 고공 시위 등 목숨을 담보한 항의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경기도내에서는 지난 7일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수원지청 앞에서 공사현장에서 일한 임금을 받지 못한 근로자가 분신을 시도했으며 같은 날 화성시 주상복합아파트 신축 공사현장에서 근로자 3명이 밀린 임금을 달라며 36층 높이에서 로프에 매달린 채 시위를 벌였다.
이들의 아픔이 전해진다. 정부는 항상 그랬듯이 추석을 앞두고 임금체불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체불임금은 추석 전 지급을 촉구하고, 하도급 공사업체 등 체불가능성이 있는 취약분야 사업장은 집중 관리할 예정이라고 밝히고 있다.
특히, 상습적으로 체불을 반복하는 사업주는 검찰 등 관계 기관과 협조해 엄정 대응할 방침이라는 것이다.
매년 되풀이 되는 정부의 발표에도 고질적인 임금체불이 사라지지 않는 것은 물론 경기침체로 인해 임금을 지급할 수 없을 만치 경영이 악화된 사업주들의 딱한 사정 때문이다.
그러나 한편으론 반복 체불, 재산은닉, 집단체불 후 도주 등 악의·상습체불 등 악덕 기업주들도 있다. 이들이 상습적으로 체불을 하는 이유는 현재의 처벌이 약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법무부나 검찰, 중앙 관계부처와 지방자치단체 등이 협의해 더욱 엄정하게 사법처리해야 한다. 그래서 추석이나 설 명절에 그리운 고향에도 못 내려가고 숙소에서 우울하게 한숨만 쉬는 근로자들이 없도록 현실적인 특단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