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경기도 자활한마당’이 14일 부천실내체육관에서 열렸다. 이 행사는 도내 자활사업 참여자들 자립의욕을 높여주고 우수사례를 알리기 위한 것으로 경기지역자활센터 관계자와 자활근로사업 참여자, 종사자 등 2천8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 됐다. 이번 행사에서 도지사 표창을 받은 사람들 가운데 눈에 띄는 수상자는 ㈜푸른우리(대표 박형래)이다. ㈜푸른우리는 지난 2008년 7명의 자활사업참여자로 출발해 현재 취업취약계층 18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지난해부터 사회적 기업으로 인증 받은 자활공동체이다.
이번 행사의 수상자들처럼 어려운 여건에서도 성실하게 일하면서 스스로의 미래를 개척해 가는 자활참여자들의 모습은 희망적이었다. 자활근로사업은 지난 2000년 10월에 시행된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거, 근로능력이 있는 수급자들에게 근로를 조건으로 생계비를 지급해 주는 제도이다. 한마디로 저소득주민의 최저생계를 보존해주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 아울러 사회적으로 유용한 공익적인 사업에 참여시키고 참여자 개개인에 대한 각종 교육을 통해 기술능력 향상시켜 자격증 취득을 통한 취업이나 개인 창업 등 자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사업이다. 생산적 복지제도인 것이다.
자활사업 대상자들은 체력이 약한 부녀자, 또는 노약하거나 병력이 있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어서 기존 근로자들에 비해 경쟁력이 없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누군가가 이들을 돕지 않는 한 가난의 악순환은 계속될 수 밖에 없으며 결국은 사회에서 도태돼 생존마저 위협받게 된다. 국가의 자활사업이 중요한 이유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국가자활사업은 당사자들에게 큰 매력을 주지 못하고 있는 듯 하다.
실제로 많은 자활사업 참여자들은 단기 취업 이후 실업상태에서 사회안전망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취업자들도 최저 생계비에 못 미치는 저임금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장래 희망이 보이는 자활 프로그램들을 확충시켜야 한다. 아울러 국가 예산을 더 투입해서라도 임금을 현실화시켜야 한다. 또 사회적 일자리나 사회적 기업 등 참여자들의 특성에 따른 ‘맞춤일자리’ 확대를 위해 좀 더 고민해야 할 것이다. 특히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특성에 맞는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지자체와 민간의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 사업 아이템의 개발에서부터 발전, 그리고 마침내 자활공동체로 독립하기까지 모든 과정에서 서로 협력해야만 보다 긍정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