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카쉐어링’ 제도 도입에 눈을 돌리자

1987년 스위스에서 처음 시작된 카쉐어링(carsharing)은 자동차를 빌려 쓰는 제도 중의 하나로 현재 일본, 미국, 독일, 프랑스 등 20여개 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다.

보통 회원제로 운영되며 렌터카와는 달리 주로 시간 단위로 필요한 만큼만 쓰고 차를 갖다 주는 식으로 장기간 동안 이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시간 단위로 빌리기 때문에 간단하게 개인적인 일을 볼 때 이용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세계에서 22번째로 지난해 10월 군포시에서 처음 선보였다. 군포 YMCA 녹색희망 카쉐어링이 차량 3대로 시작한 이 제도는 회원수가 40여 명에 불과할 정도로 아직은 낯선 서비스다.

하지만 전세계 카쉐어링 이용자는 65만명으로 추산된다. 가장 활발한 스위스는 물론이고 미국이나 일본, 유럽에선 이미 하나의 사업 모델로 뿌리내린 상태다.

프랑스의 푸조시트로앵과 독일의 다임러벤츠는 지난해부터 프랑스와 독일에서 각각 ‘페이고(PAYGO, pay-as-you-go)’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휴대전화 요금처럼 자동차를 사용한 만큼만 요금을 지불하는 카쉐어링의 일종이다. 독일에선 카쉐어링 요금 대납 기능을 갖춘 교통카드가 등장했을 정도로 인기가 높다. 스위스에선 ‘모빌리티’라는 카 쉐어링 회사가 지난 1996년 설립돼 지금은 운영차량이 2천 대에 이를 정도로 자리를 잡았다. 미국에선 렌터카 전문회사인 ‘집카’를 비롯해 카 쉐어링 서비스 프로그램를 운영하는 데가 10여 곳이다. 일본의 경우 정부가 도심 곳곳에 카쉐어링 차량을 위해 주차장을 빌려주고, 편의점과 카쉐어링 업체가 제휴영업을 시작해 운행대수만 6천여 대에 이른다.

지난 6·2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염태영 수원시장은 “친환경 자동차 문화를 정착시키겠다”며 카쉐어링 도입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현재 구체적인 규모나 일정 등 실행계획을 논의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국내에서 카쉐어링이 활발해지기 까지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정부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카쉐어링을 적극 밀어주는 외국과 달리 개념 자체가 제도적으로 없고, 이용자들이 차량을 공유하는 것을 꺼리기 때문이다. 또 자동차를 자신의 부를 과시하기 위한 도구로 이용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국내에 도입된 지 1년이 됐어도 이런저런 이유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카쉐어링에 대해 보다 정부나 지자체 차원에서 현실적인 대안을 갖고 보다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줬으면 한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