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 간 경기 북부지역 주민들의 숙원인 지하철 7호선 의정부~양주~포천 연장 사업이 무산될 위기에 놓여 있다고 한다. 이는 기획재정부가 서울 온수~의정부 장암을 운행 중인 지하철 7호선을 연장하는 방안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경제성이 낮다는 중간 분석결과를 내놨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경기 북부 해당 지자체와 시민들은 7호선 연장이야 말로 열악한 교통 환경을 개선해 도시를 발전시키는 유일한 대안이라며 절대 물러설 수 없다는 입장이다.
지하철 7호선 연장 사업이 처음 거론된 것은 지난 2001년 민락, 신곡, 금오, 송산 등 택지개발을 앞두고 있던 의정부 지역에서다. 12만명 이상의 인구 유입으로 교통난이 예상됐고 당시 의정부에는 만성적인 정체현상을 겪는 국도 43호선과 3호선, 동부간선도로와 지하철 1호선 등이 외부로 통하는 교통망의 전부였다.
따라서 지하철 7호선 연장은 선거 때마다 단골 공약으로 제시됐다. 그만큼 절실한 사업이었으나 선거가 끝난 뒤에는 별다른 진전이 없다가 지난 2007년 7월 양주, 포천지역을 포함한 광역철도 신설연장 추진위원회가 발족되면서 가시화 됐다. 양주에는 옥정, 고읍지구 등 대규모 택지개발이 예정 돼 있었고, 포천은 철도가 지나지 않는 전국에서 몇 안 되는 자치단체여서 지하철 7호선 연장은 꼭 필요했다.
이에 의정부·양주·포천 등 3개 시는 지난 2008년 12월 공동명의로 사업계획서를 경기도에 제출하는 한편 기획재정부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의뢰했다. 의정부 장암역까지 운행하는 지하철 7호선을 양주 옥정·고읍지구~포천 신도시까지 33.1㎞ 연장해 달라는 것으로 이 사업이 완공되면 포천에서 서울 강남까지 1시간 내에 접근할 수 있고, 친환경 교통망 확충에 따라 지역균형 개발이 가속화 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그럼에도 기획재정부가 내놓은 예비타당성 조사 중간 결과는 희망적이지 못하다. 비용편익 분석 결과 경제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러나 비용편익 분석 결과가 낮더라도 지역균형발전 및 사업추진 의지 등 정책적인 판단을 고려해 사업이 추진되기도 해 이들 3개 시는 여기에 희망을 걸고 있다.
그동안 경기북부 지역이 각종 중첩규제로 개발에서 소외됐고, 열악한 교통인프라로 한계점에 와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지하철 7호선 연장은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