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기부는 사회를 밝히는 등불

우리나라 국민들의 기부 규모가 해마다 크게 늘어나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연말소득공제 등을 통해 기부액 규모를 확인한 결과 지난 1999년 2조9천억원이던 것이 2008년에는 9조500억원을 기록했다. 10년 사이에 기부금 액수가 3배로 확대되는 고무적인 모습을 보였다. 반가운 일이다. 그러나 속을 들여다보면 마음놓고 반가워할 수만은 없는 것 또한 사실이다.

기부금액의 증가에도 기부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숫자는 오히려 크게 줄었다. 지난 2005년의 경우 국민 가운데 기부활동 참여자가 68.6%였으나 2007년에는 55%로 13.6% 떨어졌다. 정기적으로 기부금을 내는 사람은 기부 참여자의 16.6%에 그쳤다고 한다. 이러한 사실은 개인들의 기부를 토대로 하는 저변이 그만큼 취약하다는 점을 가리키는 것으로 기업들의 기부금이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봉사를 통한 기부도 미흡한 것은 마찬가지다. 현재 국내에 등록된 자원봉사자 수는 252만명에 이르지만 실제 봉사자는 92만명으로 36.2%에 불과하다. 봉사활동의 86.1%가 사회복지시설에서 단발성 노력봉사 위주로 펼쳐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한다. 진정한 의미의 봉사가 펼쳐지지 못하는 상태고 그런 뜻이 있다 하더라도 실천이 제대로 따라주지 않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기업들이 기부금을 많이 낸다고 하나 회사 차원이 아닌 오너 등 기업가 개인 차원의 행위가 진정한 기부라 할 수 있다.

최근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인 빌 게이츠와 투자회사 버크셔 헤서웨이의 워런 버핏 등 미국의 거부 40명이 재산의 절반 이상을 기부하겠다고 약속한 것을 상기해볼 만하다. 우리의 경우 대기업의 총수 등이 사회적 이목을 끄는 사건이 터지면 무마 차원에서 기부 의사를 밝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정부는 기부 등의 활성화를 위해 ‘나눔의 날’ ‘나눔의 주간’ 등의 제정을 검토 중이며 오는 11월 중에는 기부나 봉사가 필요한 곳 등 관련 정보를 한번에 알아볼 수 있는 ‘나눔종합정보망’을 구축해 운영한다고 한다. 민간단체들은 ‘나눔의 거리’ ‘명예의 전당’ 등을 조성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기부 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한 사회적 분위기는 어느 정도 조성됐다고 본다. 이 참에 정부는 기부금에 대한 소득공제 한도를 늘리고 기부 공로자에 대한 국가적 인정체계를 마련하는 등 개인과 기업들의 자발적 기부를 유도할 수 있는 좀 더 적극적인 정책배려를 할 필요가 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