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광명시가 국토해양부의 고속열차(KTX) 영등포역 정차 발표에 강력 반발(본지 8일자 17면)한 데 이어 광명지역 시민·사회단체도 이에 동참하고 나섰다.
광명지역 20여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KTX광명역활성화범시민대책위원회는 11일 정부의 KTX 영등포역 정차 허용과 수원역 시발 계획을 즉각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대책위는 이날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광명역 활성화 대책으로 5년 전 인근 7개 도시와 함게 86만명의 서명을 받아 청와대, 국회, 건설교통부, 한국철도공사에 청원해 건교부 장관으로부터 영등포역 정차를 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았다”며 “하지만 지금 와서 국토해양부가 약속을 어기는 것은 일관성 없는 정책의 결과라고 볼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또 “당초 정부는 서울의 교통과 인구를 분산할 목적으로 4천68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광명역을 KTX 시발역으로 건설해 놓고 영등포역 정차 및 수원역 시발 계획을 시도하는 것은 광명역을 무용지물로 만드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대책위는 국토해양부와 철도청이 광명역이 계획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역사 주차장 확충, 복합환승센터 설치, 신안산선과 월곶~판교선 조기착공, 연계교통수단 확보 등 광명역 활성화 대책에 적극 나설 것을 요구했다.
이들은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광명시민, 인근 7개 도시 시민들과 함께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싸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국토부는 지난 6일 출퇴근 시간에 한해 하루 2차례 KTX의 영등포역 정차를 허용하고, 대신 금·토·일 주 3일은 광명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를 하루 4차례 운행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