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공무원 되기란 하늘의 별 따기와 다름없다. 조직내에서 튀지 않고 잘 버티기만 하면 인생 황혼무렵까지는 그야말로 대접 받으며 살아 갈 수 있다. 공무원이 일약 특권계층으로 떠오른것은 경제환란 이후부터다. 퇴임까지 별무리가 없는한 신분과 경제가 보장되는 인기직종으로 부각된 것이다. 한 때 유명환 외교통상부장관의 딸 특혜채용이 언론의 도마위에 오르면서 장관직을 잃는 등 큰 홍역을 치렀다. 어린 딸이 외교통상부 내에서 어느정도의 능력을 발휘했는지는 구체적으로 확인할 길은 없지만 거의 장관급의 예우를 받았으리라는 생각은 쉽게 할 수 있다. 오랜동안 굳어져 내려온 공직의 습성을 가늠해 보더라도 그것은 예측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공직 우월주의가 팽배해 지면서 관청의 문턱을 넘기 위한 공무원 특채 비리가 끊이지 않고 일어나는 것은 개탄할 일이다. 이러한 공직 가족들의 특채는 철저하게 비밀주의에 부쳐저 채용과정을 선점해 조직적으로 이뤄져 왔다는 사실에 교육기관이 이래도 되는가 하는 배신감마져 들 정도다. 경기도교육청에도 5급 이상 공무원의 친인척 602명이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본보 10월 12일자 보도) 이는 도교육청내에 근무하고 있는 5급이상 직원 482명 보다 많은 규모다. 이같은 사실은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김유정 의원(민주·비례)이 지난 11일 인천시교육청에서 열린 도교육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밝혀졌다. 특히 본청 직원들의 친인척 47명이 특채전형으로 근무 중인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정당한 채용과정을 거쳐 필요한 인재를 뽑았다고 판단하기에는 미숙하기 짝이없는 노릇이다. 또한 학교장의 친인척들이 같은 교육지원청 소속 학교에서 계약직 교사로 근무하는 사례도 16건에 이르렀다고 하니 특혜 아닌 특혜를 받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채용과정도 석연치 않다. 특히 학교장들의 친인척 채용은 학교 홈페이지에 채용공고를 잠깐 낸 것이 전부다. 인재가 몰릴 수가 없는 폐쇄적이고 형식적인 채용과정을 거쳐 일사천리로 진행됐다고 봐야할 것이다. 이렇게 해서 뽑은 사람들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적재적소에 배치됐다고 볼 수는 없다. 김상곤 교육감은 답변에서 “학교장 권한으로 임시직 등을 채용하며 공고하는데 애매한 부분이 있다”고 시인했다. 청년백수가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마당에 도교육청 고위 공직자들의 공직나누기는 지탄받아 마땅하다. 인재채용시는 교육청 홈페이지를 비롯, 구직 사이트 등에 전면적인 공개채용 과정을 거쳐야 하며 특정인사에 특전을 베푸는 채용은 근절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