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비만은 큰 문제다. 지방세포만 커지는 성인 비만과 달리 지방세포 수가 늘어나면서 성인기 고도비만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를 방치하면 당뇨병, 고혈압 등 개인에겐 치명적인 성인병을 부르고 사회적으로는 노동 생산성이 악화되고 의료비 등 비용을 늘려 국가 경쟁력을 떨어뜨린다.
길거리를 거닐다 보면 대부분 비만 학생은 입에 먹는 것을 달고 다닌다. 학교 주변에서 판매하는 국적불명, 함유량 불명에 유해물질이 함유된 듯한 먹을 거리를 즐겨 먹는다. 학교 주위에서 ‘건강저해식품’을 못 팔도록 하는 내용의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이 지난해 4월 중순부터 시행에 들어갔지만 법 시행 이후에도 학교 주변에 불량식품이 여전히 판을 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법적 강제성이 없다보니 인근 상인의 참여가 저조한데다 당국의 단속 역시 겉돌기 때문이다. 정크푸드 광고제한 규정도 지난 1월 국무회의를 통과했지만 방송사 등의 압력에 밀려 광고제한 시간이 4시간에서 2시간으로 축소됐다. 정부 대책이 허술하거나 너무 약한 것으로 드러난 것이다.
교육과학기술부가 27일 발표한 ‘학교건강검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초·중·고생의 비만도는 전체 평균 13.2%로 2008년보다 2%포인트 올라갔다. 이번 조사는 전국의 749개 초·중·고생 19만4천여 명을 대상으로 했다. 비만도는 2006, 2007년 11.6%에서 2008년 11.2%로 줄어들다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특히 표준체중의 50%를 초과하는 고도비만 학생의 비율도 2006~2008년 0.8%에서 2009년 1.1%로 늘어 처음 1%를 넘어섰다. 비만 학생이 늘어난 것은 성장기 열량 섭취는 늘어나는 데 비해 입시 지옥에 시달려 운동과 수면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다. 특히 인스턴트 식품을 주로 먹는 식습관 탓도 크다. 교과부 조사에서도 주 1회 이상 라면을 먹는 경우가 초등학생 75.59%, 중학생 85.36%, 고교생 77.67%에 달했고 주 한 번 이상 햄버거 등 패스트푸드를 섭취한다는 응답도 초등학생 49.90%, 중학생 56.79%, 고교생 60.21%나 됐다.
국내 비만의 사회경제적 비용이 지난해 3조 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처럼 비만은 개인의 문제인 동시에 국가의 문제다. 세계보건기구(WHO)가 비만을 질병으로 규정한 이유다. 선진국도 앞다퉈 비만 문제, 특히 소아청소년 비만을 줄이기 위해 매달리고 있다. 엄격한 법적용 못지않게 학교 역시 측의 질병을 퇴치한다는 비장한 각오로 학생들에게 비만예방교육을 시행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