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농진청은 수원에 있어야 한다

수원은 우리나라의 농업연구 중심지이다. 수원시 장안구 만석공원에 있는 만석거나, 팔달구에 위치한 서호의 본 이름인 축만제 등은 모두 정조대왕의 농업정책에 의해 비롯된 이름들이다. 만석거와 축만제라는 저수지가 축조된 후 인근 농민들은 혹심한 가뭄 속에서도 풍성한 결실을 거뒀다고 한다. 정조대왕은 또 화성을 지키는 군사들이 주민과 함께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화성 북쪽의 황무지를 개간해 대유둔전(대유평)을 일궜다. 현재 수성고등학교와 옛 연초제조창이 있었던 정자동과 영화동 일대가 그곳이다. 뽕나무를 심었던 관길야(장안문과 화홍문 사이 성 밖)도 그중의 하나다.

수원갈비가 유명세를 타게 된 것도 정조대왕의 농업 장려정책과 관련이 있다. 당시 정조대왕은 수원의 농민들에게 경작에 반드시 필요한 소를 내려줬고 소가 새끼를 낳으면 어미소를 농민에게 주고 새끼를 거둬갔다. 따라서 수원은 조선시대부터 전국적인 우시장이 서게 됐고 소갈비를 이용한 음식이 생겨난 것이다. 이런 역사적인 배경이 있었기 때문에 수원에 국가의 농업 연구기관인 농촌진흥청과 축산 연구시설이 들어선 것은 필연적인 일이었던 것이다. 비록 지금은 이전했지만 서울대 농대와 수의대가 수원에 있었던 것도 당연한 일이었다.

그런데 농대 이전에 이어 농진청마저 수원을 떠나려 하고 있다. 농진청은 지난 7월 전북혁신도시(아라곤 시티) 내 621만 7천㎥ 규모의 부지에 1~5공구 까지 부지 매입을 위해 토지주택공사(LH)와 계약을 체결했다.(본보 3일자 10면 보도) 농진청은 지난 2005년 6월 지방 이전을 위해 지방이전 추진단을 발족한 바 있다. 그러나 수원시와 경기도는 이제서야 농진청의 전주 이전 계획에 맞서 수원 존치 작전에 돌입했다고 한다. 이미 5년 넘게 농진청 지방 이전작업이 진행돼 왔는데 그동안 수원시와 경기도는 지금까지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

이미 늦어버린 것이 아닐까하는 우려가 들지만 끝까지 노력해봐야 한다. 수원시는 민선 5기 들어 도와 함께 농진청의 기존 수원 존치를 전제로 국토해양부와 협상을 벌이고 있다. 지난달에는 국토부 청사에 가서 농진청 수원 존치를 요구 수용 불가시 대안 마련을 국토부에 요구했다고 한다. 수원은 역사적으로 농업과학 연구 발원지이자 한국 농업의 상징적인 땅이다. 농진청의 전주 이전은 지역적으로 큰 손실일 뿐 아니라 지역민들의 자존심을 손상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수원시와 경기도는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존치를 위해 노력해야 하며 시민 사회도 하나가 돼 힘을 몰아 줘야 할 것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