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시립공공도서관을 비영리법인인 ‘인천시도서관협회’로 설립을 추진하자 인천지역 시민단체는 사실상 도서관 운영을 전담하는 시설관리 기구를 또 하나 만드는 옥상옥에 불과하다고 비난하고 나섰다.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하 경실연)은 14일 성명을 통해 “인천시가 추진하는 ‘인천시도서관협회’는 현행 인천문화재단의 ‘도서관 위탁운영’과 다를 바 없다”며, “사서 등 소수직렬을 다시 공무원 총액 인건비제도·총 정원제도의 희생양으로 내몰아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서울시는 문화예술과 산하에 도서관정책팀과 도서관운영팀을, 경기도는 교육국 산하에 도서관정책팀을 두고 있어 인천시는 공공도서관만을 전담하는 시 산하 직제도 없어 공공도서관정책이 제대로 수립될지 우려 된다”고 덧붙였다.
따라서 “시의 도서관협회 설립추진은 미추홀도서관처럼 인천시 공무원 정원규정의 보호를 받으면서 직접 운영하는 방식이 아닌 이상 ‘눈 가리고 아웅’하는 것에 불과하다”며 “시는 시민의 기초적인 공공서비스를 수행을 위해 중앙정부를 상대로 한 ‘총액 인건비제도 철폐’를 주장하고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인천시는 시민의 기초적인 공공서비스인 공동도서관의 운영 및 정책을 전담할 사서직이 공무원 정원 안에서 보호받고 안정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타 자치단체장과 연대해 중앙정부를 상대로 ‘총액 임금제 철폐’를 요구하든가 아니면 시장 임기 초처럼 행정조직을 개편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한편 현재 인천시의 관리감독을 받고 있는 도서관은 4곳(직영 1, 위탁3), 시 교육청 소속 도서관은 8곳이 있고, 나머지 19곳(직영 12곳, 위탁 7곳)이운영되고 있다.
이중 대다수가 어린이 상대의 작은 도서관인 군·구립 도서관이며, 사서직 현 공무원 수는 총 28명(미추홀도서관, 인천대 도서관, 시청 자료실)으로 정원 17명에 과원이 11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