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G20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세계적인 국가로 발돋움하고 있지만 사회 곳곳에 사각지대가 존재하는 허술한 사회의 이면이 존재한다. 겨울철이 다가오면서 화재에 대한 경고음이 곳곳에서 들려오고 있다. 특단의 대책없이 필요한 시점이다. 치매나 중풍 환자가 기거하던 여성전용 요양원에서 불이 나 여러 명이 숨지거나 다치는 불상사가 발생했다. 12일 새벽 경북 포항의 인덕노인요양센터에서 전기 합선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화재가 나 70~80대 할머니 10명이 숨지고 17명이 부상했다는 것이다. 불은 전체 2층 건물 가운데 1층 사무실만을 태우고 30분 만에 비교적 쉽게 진화됐으나 사상자 대부분이 거동 불편한 중증 환자라서 잠자던 중에 미처 대피하지 못해 연기에 질식한 것으로 알려졌다. 황당하고 답답한 심정은 유가족 뿐이 아닐 것이다. 이 요양원은 자동 화재탐지기 등의 시설을 갖춰야 하는 연면적 600㎡보다 규모가 작아 화재경보기나 스프링클러 등 기본적인 화재 대응 장비도 없었다. 소방서가 1년전 특별 점검을 했지만 이상이 없었고, 포항시도 매년 2회 정기적인 지도점검을 했지만, 그동안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했다는데 이런 참사가 난 것이다. 지도감독기관의 부실 행정 여부도 되짚어봐야 한다.
참사가 일어난 인덕요양원이 70대 이상 할머니들이 거주하는 복지시설인 점을 감안하면 불이 났을 때 긴급 피난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했을 것이다. 특히 이번 사고로 노인 10명이 모두 연기에 질식해 숨져 건축자재의 방염·절연성도 낮은 것으로 보인다. 노인 관련 복지시설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법적·제도적 장치가 뒤 따르지 못하는 현실을 입증한 셈이다. 인구 고령화로 노인환자가 계속 늘어나면서 전국의 요양병원은 지난 2005년 199개에서 2009년 755개로 4년만에 4배로 늘어났고 병상수도 2만4천171개에서 3.4배인 8만3천324개로 증가했다. 문제의 노인요양시설도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이 도입되면서 2007년말 647개소에서 지난해 2천627개소로 급증했다. 상당수 요양원이 이보다 시설과 환경이 더 열악할 것이라는 추론도 가능하다. 이러한 후진국형 참변이 재발하지 않도록 관계기관은 철저한 감독이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는 포항 노인요양원 화재 참사와 관련해 도내 복지시설에 대한 겨울철 소방안전대책 특별소방검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한다. 해당 복지시설은 노인복지시설 626곳과 장애인재활시설 116곳, 장애인요양시설 141곳 등 모두 7천662곳이다. 화재는 사전예방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