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이나 기업들로부터 모은 성금을 불우한 이웃들에게 나눠주는 창구역할을 하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스스로 파놓은 구덩이에 빠져 헤어나오지 못하는 어처구니 없는 일이 발생해 연말 성금모금에 막대한 차질을 빚고 있어 대대적인 수술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더욱이 경기도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전 간부의 공금횡령 사실을 확인하고도 사법기관 수사의뢰 등 후속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어 ‘투명성이 생명’인 모금단체의 도덕적 해이와 함께 사태를 너무 안일하게 보고 있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모금회 일부 직원의 비리 문제가 불거진 지난달 중순부터 지금까지 한 달여간 모금액이 전국적으로 20억원 가량 줄었다고 한다. 모금회가 높은 도덕성으로 무장했을 것이라고 굳게 믿었던 사람들의 낙담과 실망, 그리고 분노와 배신감을 반영하는 것 아닌가 여겨진다.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밝혀진 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비리수법은 두귀를 의심케 할 정도여서 모금회에 대한 전반적인 대수술이 불가피해 졌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도 모금회의 한 간부는 지난해부터 서류와 영수증 등을 꾸며 유흥주점, 음식점 등에서 법인카드로 3천300만 원을 쓴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명백하게 업무상 횡령 및 배임 혐의가 적용되지만 모금회측은 형사고발 등 법적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 지난 2006년부터 올 4월까지 9천만 원 상당의 실내건축공사를 하면서 실무책임자의 친척이 운영하는 부실업체와 계약했고, 한 번도 얼굴을 비추지 않은 연예인 홍보대사에게 급여를 지급하는 등 부실관리로 경고를 받기도 했다. 이처럼 국민 성금을 철저하게 관리해야 하는 공동모금회지만 경비를 부당집행하거나 구매관리가 부실해 성금이 줄줄 새고 있었던 것이다.
경기도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성금 사용 내역을 상세하게 공개할 것을 요청한다. 또 사무조직의 운영에 소요되는 예산을 어떻게 충당하고 있는 지 밝혀야 한다. 도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홈페이지를 확인한 결과 신창기 회장 아래 사무처장을 비롯 32명이 근무하고 있는데 이렇게 방대하게 운영되는 것이 타당한 것인지 또 이들에 대한 보수와 사무처 운영경비를 어떻게 조달하는지 소상하게 밝혀 투명성을 확보하는 일이 급선무다.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명예회장을 맡고 있는 한 경기도도 자유스러울 수는 없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회장과 사무총장, 이사진 전원이 일부 직원의 비리와 부정행위로 사회적 물의가 빚어진 데 대해 책임을 지고 사퇴 했다. 도 사회복지공동모금회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