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외규장각 도서반환 당연하다

프랑스가 약탈해 간 외규장각 도서의 사실상 한국 반환 결정이 나고 이 도서를 한국으로 옮기기 위한 후속 실무 협의가 이번 주부터 본격 시작된다. 보도에 따르면 양국이 반환 이행을 위한 자국 내 관련부처 간 협의를 조속히 마무리한 뒤 이번 주 중반쯤부터 296권의 외규장각 도서를 한국으로 이송하기 위한 실무자 간 협의를 개시할 방침이라고 한다. 마땅한 일이며 옳은 일이다. 진즉에 한국으로 돌아왔어야 하지만 이제라도 반환키로 한 프랑스 정부의 결정에 찬사를 보내는 바이다.

외규장각은 조선 정조시대인 1781년에 세워졌다. 보다 안전하고 체계적으로 자료들을 관리할 목적으로 세워졌다. 1776년 창덕궁에 설립된 규장각의 분소와 같은 성격을 띠게 됐고, 1866년 프랑스함대가 강화도에 침범한 사건인 병인양요로 불타 없어지기 전까지 1천 7종, 5천 67책이 소장돼 있었다. 이때 프랑스 군대는 은궤, 어새 등과 함께 외규장각 도서 중 의궤류와 고문서들을 약탈해갔다. 외규장각 도서는 지난 1975년 국립도서관 사서로 일하던 ‘직지대모’ 박병선 씨가 베르사이유 별관 파손 창고에서 처음 발견, 세상에 알려졌으며, 1992년 7월 주불 한국대사관이 외규장각 도서반환을 요청하면서 논의되기 시작했다. 약탈은 폭력으로 남의 것을 강제로 빼앗는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세월이 흘렀어도 피해국에 사과하고 반환하는 것이 당연한 일이다. 특히 문화와 역사를 중요하게 여기는 프랑스로서는 더욱 그래야 한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 프랑스국립도서관(BNF) 사서들이 외규장각 도서 반환에 대해 반대를 하고 있는 것이다. BNF 사서 11명은 ‘의궤 관련 BNF 직원들의 성명문’을 내고, 반대한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표명했다. 어처구니없게 한국 정부에 ‘의궤와 상응하는 문화재’를 내놓으라고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쯤 되면 ‘후안무치(厚顔無恥)’라는 말도 부족하다. 약탈은 강도행위나 다름없다. 그런데 범죄자 후손들이 부끄러워하기는 커녕 오히려 큰소리를 치고 있는 것이다. 이 소식을 들은 한국 국민들의 분노가 끓어오르고 오르는 것은 당연하다. 어떤 네티즌은 ‘남의 물건 훔쳐간 도둑놈들이 더 당당하네’라고 어이없어 했다. 프랑스 제품 불매 움직임도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프랑스 내 지한파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이번 합의가 양국의 관계 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평가가 있어 그나마 안심이 된다. 한시라도 빨리 실무협상이 마무리 돼 외규장각 도서들이 한국으로 돌아오길 바란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