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인까지 살상한 북한의 연평도 도발 이후 세계는 지금 중국의 행보를 주시하고 있다. 세계 각국은 민간인 거주 지역까지 무차별 포탄을 퍼부은 북한의 비인도적이고 야만적인 폭거를 규탄하면서 중국이 동참해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해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어제 이명박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중국이 북한에 대해 분명한 태도로 임해야 한다”면서 후진타오 국가주석에게 전화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 대통령도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전화통화에서 “중국이 적극 협조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국제사회가 중국의 입장에 주목하는 것은 중국이 북한에 대해 지렛대를 가진 유일한 나라이기 때문이다. 필립 크롤리 미 국무부 차관보는 “중국은 북한을 근본적으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데 있어서 중심축으로 북한에 대해 정말 영향력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오죽하면 과거 북한의 혈맹이었던 러시아의 외무장관마저 “남한의 섬에 대한 포격을 주도한 측은 분명히 큰 책임을 져야 한다”고 북한을 비난했겠는가. 하지만 국제사회의 기대와는 달리 아직 중국은 오불관언의 태도를 보이고 있다. 훙레이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24일 성명에서 “중국 정부는 남북한이 냉정과 자제를 견지하고 최대한 빨리 대화와 접촉을 가질 것을 강력하게 촉구한다”고만 밝혔다. 원자바오 총리도 “어떤 군사적 도발 행위에도 반대한다”고 말했다. 신화통신은 이날 “한국이 군사적 도발이라며 북한을 비난하고 있지만 여전히 누가 포격을 시작했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다”고 주장했고 인민일보, CCTV 등도 북한의 명백한 도발을 ‘남북한 교전’으로 규정하는 등 노골적인 북한 편들기에 나서고 있다. 중국은 세계 금융위기 이후 국내총생산(GDP) 기준으로 일본을 제치고 세계 2위에 올라섰다. 명실 공히 미국과 겨룰만한 세계 2위 경제대국(G2)으로 떠오른 것이다. 하지만 눈부신 경제성장을 기반으로 커가는 국제적 위상에 걸맞은 강대국이 되려면 민간인까지 살상한 북의 만행을 감싸고 돌아서는 곤란하다. 오히려 만행을 규탄하는데 기꺼이 동참하는 등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최대한 존중해야 한다. 그래야만 국제적으로도 존경받는 나라가 될 수 있다. 한반도 안정이 무너지면 중국의 번영도 뿌리부터 흔들릴 수 밖에 없다. 한반도, 나아가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어떤 선택을 하는 것이 현명한 것인지는 이미 답이 나와 있는 것이다. 북의 호전성을 더 감싸지 않는, 그래서 G2 국가의 위상에 걸맞은 처신을 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