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세계문화유산’에 적극적인 정부 지원을

현재 우리나라에는 석굴암·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이상 1995년) 창덕궁, 수원화성(1997년), 경주 역사유적지구, 고창·화순·강화 고인돌유적(2000년), 조선왕릉(2009년) 등 9개의 세계문화유산이 있었는데 지난 7월말 하회·양동마을이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됨으로써 10개의 세계문화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세계문화유산은 1972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에 의거해 세계유산목록에 등재된 유산을 지칭한다. 인류의 보편적이고 뛰어난 가치를 지닌 문화유적들로서 인류 대대로 보호되고 전해져야 한다.

그러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긴 했으나 보존·관리를 뒷받침하는 국가 지원은 미흡한 실정이다. 수원화성의 경우 지난 2007년 대선 당시 이명박 대통령 후보가 수원화성을 방문하고 화성성역화 국책화 사업 전환을 지방공약으로 내세운 바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화성성역화 국책사업 전환 공약은 지켜지지 않고 있다. 화성성역화 국책사업은 커녕 화성 정비사업에 대한 국비 지원조차도 지지부진해 수원시가 적극적인 지원을 호소하고 있다. 이는 다른 지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따라 세계문화유산 보유 자치단체들이 정부의 실질적 지원을 끌어내기 위해 힘을 합쳤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을 보유한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의 협의체인 ‘세계문화유산 도시협의회’ 창립총회가 지난달 29일 오전 11시 수원시청에서 개최된 것이다. 이날 창립 총회에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을 보유한 8개 시·군·구(수원시, 종로구, 경주시, 안동시, 강화군, 고창군, 합천군, 화순군)의 단체장과 문화재청 공무원, 유네스코 한국위원회의 사무총장 등이 참석해 협의회 창립에 주도적이었던 염태영 수원시장을 회장으로 선출했다.

‘세계문화유산 도시협의회’는 앞으로 ▲세계문화유산 보존과 유지 관리를 위한 국고 지원 확대 ▲유네스코 도시 간 네트워크를 통한 외국인 관광 코스 지원과 협력 ▲유네스코 도시 간 관광 콘텐츠 교류 등을 위해 공동 노력할 계획이라고 한다. 특히 현재 국회에서 계류 중인 ‘세계문화유산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통과시키기 위해 힘을 합칠 계획이라고 한다. 사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 있는 지역에는 이를 보려는 국내·외 관광객이 늘고 있다. 하지만 정작 보존 관리에 필요한 예산 지원에 정부는 인색하기 이를 데 없다. 보존 관리는 지방자치단체의 힘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앞으로 정부는 회원 자치단체들의 건설적 대안에 적극인 지원을 해주길 기대한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