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4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인천시, 주택시장 개발사업 연계 시급하다

서구·연수구·중구 아파트 시 평균가격 상회
저가·고가 아파트 가격상승률 격차 벌어져

인천시는 기존시가지와 신규개발지간 주택가격 격차해소를 위해 기존시가지의 주거환경개선 노력 요구와 주택시장 활성화를 위해서 개발사업간 연계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폈다.

7일 인천발전연구원 기윤환 연구위원이 발표한 인천시 아파트가격의 지역별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인천시의 아파트가격은 2000년 이후 2.8배 상승했고 가격 상승 지역은 서구, 연수구, 중구로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또한 2005년 이후 연수구가 2배, 서구와 중구가 1.8배로 인천시 평균 아파트가격을 상회했고 1995년∼2010년까지 평당 저가아파트의 가격상승율은 117%, 고가아파트의 가격상승율은 406%로 주택가격의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경제자유구역이 지정돼 있는 지역과 그 외의 기존시가지간 가격차이가 더욱 심화 돼 신규개발사업에 의한 아파트 분양가격 상승이 인천시의 아파트가격을 주도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따라서 송도경제자유구역의 아파트가격은 남동구, 남구 및 인천시 전체에 영향을 주고 그 영향력은 평균 3개월 동안 지속돼 연수동에는 10개월 이상 영향력이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변의 대규모 개발사업인 소래·논현도시개발사업과는 상호 융합작용을 통해 10개월간 2∼3%의 아파트가격을 상승시키는 반면, 용현·학익도시개발사업과의 융합효과는 나타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더욱이 청라지구의 아파트가격은 가정오거리 재생사업과의 융합효과는 없지만, 2014아시안게임 주경기장 건립은 청라지구의 아파트가격 상승요인으로 작용하고 영종지구와 가정오거리 재생사업은 가격에 영향력이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기 연구위원은 인천시의 아파트가격은 기존시가지와 신규개발지간 주택가격 격차가 심화되고 공장밀집지역, 항만주변지역 등 주거환경이 열악 지역의 가격이정체로 기존시가지의 주거환경개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또한 “인천시의 주택시장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청라지구와 가정오거리 재생사업 등과 같이 인접한 개발사업간 융합효과를 위해 기능연계, 분양시기 조절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