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수돗물에 적정 농도의 불소를 첨가해 충치를 예방하는 사업을 다시 추진하고 나서 이를 둘러싼 찬반 논란이 재연되고 있다.
시는 내년 3월 전문기관에 시민 여론조사를 맡겨 찬성 의견이 우세할 경우 정수장에 불소 첨가를 위한 설비를 갖추고, 내년 말부터 불소가 함유된 수돗물을 공급할 계획이다.
시는 이를 위한 사업비 5억1천여만원을 내년도 예산에 편성했다.
인천 수돗물에 불소를 첨가하는 사업은 지난 2005년과 2008년에도 추진됐지만 전문가와 시민단체 사이에서도 찬반 양론이 극명하게 엇갈려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보류됐다.
그러나 송영길 시장이 6.2 지방선거에서 이 사업을 공약으로 제시하고, 정부가 일선 지방자치단체에 사업 실시를 적극 권고하면서 재추진됐다.
찬성 측에서는 “수돗물 불소화는 적정 농도를 유지하면 치아건강을 위해 바람직하다”면서 “불소가 암이나 골경화증, 골절 등을 유발해 인체에 유해하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이미 국제암연구기구(IARC) 등을 통해 보고돼 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또 수돗물에 적정한 불소를 첨가하는 것은 의료행위가 아니라 보건행위이며, 불소가 든 수돗물로 충치 예방을 하려는 사람들의 권리도 존중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대 진영에서는 불소화한 식수가 인체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여전히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처럼 찬반 양론이 팽팽히 맞서자 인천시의회도 시가 내년도 사업 추진을 위해 편성한 예산을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신중한 접근을 주문했다.
시의회는 수돗물 불소 첨가에 대해 “시민단체들마저 엇갈린 주장을 하고 있는 만큼 시민 여론을 조사할때 공정한 전문기관에 맡겨 사업 추진 여부를 결정하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현재 전국 정수장 520곳 가운데 불소처리를 하는 곳은 27곳(5.2%)이며 광역자치단체 중에서는 울산시가 불소가 첨가된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