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가 국민권익위원회가 지난 9일 발표한 2010년도 청렴도 측정 평가에서 전국 73개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국민권익위는 공공기관을 찾은 민원인과 직원 등 22만6천여 명을 대상으로 지난 8월부터 11월까지 실시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중앙행정기관,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시·군·구) 등으로 구분해 등급과 점수 등을 측정한 결과 내부 청렴도에서 8.69점, 외부 청렴도에서 8.66점을 기록해 종합 청렴도 8.67점을 얻은 구리시가 전국 최우수자치단체로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먼저 청렴도 전국 1위의 명예를 얻은 구리시의 박영순 시장을 비롯한 모든 공직자들의 자정노력에 박수를 보낸다. 공직자들의 지상(至上)의 가치인 청렴의 영예는 그냥 얻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가 구리시의 청렴도 최우수 결과에 주목하는 이유가 있다. 구리시는 지난 2005년에도 전국 최하위라는 불명예를 차지했었기 때문이다. 2007년도에도 전국의 평가대상 기관 333곳 중 300위권에 처져 있었고, 경기도에서는 꼴찌를 기록한 바 있다. 구리시의 변신은 2008년 1월 ‘부패와의 전쟁’을 선포하면서 시작됐다. 민원처리 과정에서의 불만사항과 금품수수 여부 등을 민원처리가 끝난 뒤 자체적으로 모니터링하는 ‘해피콜센터’를 통해 민원처리 불만제로에 도전했으며 외부강사 초빙 청렴교육, 금품수수자 실명공개 등을 실시했다고 한다. 신고액의 10배까지 포상금을 지급하는 부조리 신고포상금 제도도 운영 중이며, 구리투명사회협약실천협의회가 시민의식개혁 운동을 전개하며 지역사회의 청렴운동을 이끌어 나갔다. 지난해 박영순 구리시장은 “내년에는 전국 최고의 청렴도시로 정착되는 해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그 말이 올해 실현된 것이다.
지난해 불명예스럽게 꼴찌를 기록한 수원시는 이번 측정결과 내부청렴도 7.89로 ‘보통’, 외부청렴도 8.02로 ‘매우미흡’, 종합청렴도 7.99로 ‘미흡’으로 나타났다. 수원시는 지난해 꼴찌의 불명예를 씻기 위해 염태영 시장 취임 이후 나름대로 노력을 해왔다. 그러나 최근 유흥주점 업주에게 단속정보를 제공하거나 인·허가상 편의를 봐주는 대가로 뇌물을 받아 챙겼다가 구속된 비리공무원으로 인해 이런 노력은 허사가 되고 말았다. 이에 수원시는 ‘비리공무원 3진 아웃제’를 바꿔 단번에 퇴출시키기로 했다고 한다. 올해 꼴찌를 한 파주시나 양주시 등도 구리시처럼 환골탈태의 노력을 해 청렴도시의 명예를 얻게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