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구제역 경기남부권 확산 막아야

경북 안동에서 시작된 구제역이 경기북부에 이어 청정지역인 강원 평창·화천까지 확산되고 있지만 속수무책이다. 지난달 29일 첫 발병이후 한달째 구제역 공포가 전국을 강타하며 방역당국의 총체적 무능을 질타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당국은 정확한 감염경로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 23일 접수된 경북 안동의 구제역 의심신고에 대해 4∼5일가량 미온적으로 대처하다 같은 달 29일 뒤늦게 방역에 나선 지 한 달 만에 구제역이 경기북부 지역을 초토화시킨데 이어 강원지역까지 밀고 들어왔다. 22일 김포에서 새로 구제역이 발생한데다 포천에서는 추가로 구제역이 발생했고, 강원 춘천에서도 의심신고가 들어와 이번 구제역이 전국으로 확산되는 것은 시간문제로 보인다. 경기북부 구제역 발생 초기 이동통제초소가 설치됐는데도 외부차량이 아무런 제재 없이 드나드는 등 형식적인 방역에 지나지 않았다. 농림수산식품부가 지난 10월까지 수정보완한 ‘구제역 긴급행동지침(매뉴얼)’ 대로라면 차량바퀴를 소독하기 위해 부직포를 깔고 도로 양 옆에 분무소독기를 설치하게 돼 있지만, 통제초소의 차량 소독기도 눈에 띄지 않았다.

대부분의 농장 입구에는 자치단체가 지원한 방역기계가 설치됐으나, 절반 이상이 고장나는 등 평소 출입 차량 소독에 신경쓰지 않은 것도 확산 원인으로 축산업계에서 거론되고 있다. 살처분하는 가축은 모두 해당 농가 인근의 농가 소유 토지에 묻는 것이 원칙이지만 토지가 여의치 않은 축산농가들이 매몰지 마련이 쉽지 않은 점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경기도 방역당국도 방역활동에 주력하고 있지만 구제역이 확산되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기 북부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구제역이 청정지역에 해당하는 경기남부지역으로 번질까봐 초긴장상태다. 안성 등 경기남부지역의 사육농가들도 하루하루를 불안속에 보내고 있다. 관계당국도 구제역이 경기 남부지역으로 번질 경우 피해규모는 더 커 질것으로 보고 방역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다. 특히 도내 사육 가축 가운데 한우·육우의 72%, 젖소의 62%, 돼지의 69%가 안성과 평택, 이천, 용인, 화성 등 경기 남부지역에서 사육되고 있어 관계당국이 긴장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경기도는 경기 남부지역 곳곳에 방역초소를 설치하고 가용 공무원을 동원해 방역활동에 주력하라고 지시하는 등 적극 대처하고 있다. 영농조합법인의 한 대표는 “구제역이 경기 북부에 이어 남부권까지 확산되면 국내 축산업 붕괴는 시간문제”라며 걱정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