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칼럼] 청소년들의 문제는 어른들의 몫

 

시대의 흐름에 따라 사회, 정치는 물론 교육 역시 변화하고 발전했다. 각 시·도 교육청은 보다 나은 교육의 질을 위해 미래 발전적이고 선진화된 계획과 정책을 시행하고 법을 제정하기도 한다.

2010년 경기도교육청의 가장 큰 이슈는 학생인권조례라고 말할 수 있다. 학생인권조례안의 제정 이후 ‘무정부 교실’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학생과 학부모의 도(道)넘는 교권침해 사례가 쇄도하고 있다.

학생이 여자 담임교사의 배를 차고, 학부모가 교사의 뺨을 때리고 ‘맷값’으로 수표를 내미는 등 학생과 학부모가 교사에게 폭언과 폭행을 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꾸중한 교사의 차를 송곳으로 뚫고 분필과 지우개를 교사에게 던지는 사례도 있었다. 소설이나 만화에서나 나올 것 같은 일들이 현재 우리의 교육현장에서 빈번히 벌어지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지금의 교육 현장에서 일어나는 행태를 바라보며 염려하면서도 어디까지 이어질지 개탄스러워하고 있다.

교사, 학생, 학부모 간의 갈등과 사회적 문제는 무엇인지는 몰라도 가슴 한편에 분노를 치밀어 오르게 한다.

왜 이렇게 됐을까, 무엇이 문제인가, 사람 때문인가, 아니면 제도 때문인가. 분명 누군가에게 그 책임을 전가해야 분노의 마음을 표출할 수 있고 답답하고 화난 심정을 배출 할 수 있을 것 같지만 마땅히 누구 탓으로 돌리기도 부끄럽다.

교육은 원칙이 있어야 하고 질서가 있어야 한다. 외형적 기준이나 조건에 의해서 좌지우지 되지 않아야 한다. 올바른 교육적 가치는 문화와 정신 그리고 당당한 기풍이 확립돼 있어야 한다.

하지만 우리의 교육환경과 여건은 그렇지 않다. 기성세대의 사치를 답습하기도 하고 전인격적인 교육을 통해 올바른 가치관을 지닌 사회인을 육성하기보다는 일회성 평가를 위한 미시적인 지식과 안일한 사고에 편승해 있다.

학생들 또한 편의주의와 결탁한 알량한 지식놀음에 사로잡혀 복사된 자료를 외어 답안지에 잘 옮겨놓기 위해 애쓴다. 자신이 기술하는 내용이 어떤 의미를 갖고 있고 무엇을 추구하는지 보다는 옳고 그름에 대한 결과론적인 것에 관심을 갖는다.

이러한 세태 속에 그들은 인격적인 가치와 사회인으로서의 역량을 기대하기보다는 육체적이고 단편적인 기능인으로서의 단면을 추구하게 될 것이다. 다양한 학문의 역량과 지성인으로서 폭넓은 사고관, 세계관을 기대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 뻔하다.

이러한 교육 환경적 분위기는 청소년들의 가치관과 혼돈 되면서 갈피를 잡지 못한 채 기성세대와 모순된 체제에 대해 무조건적 반항 행동을 일삼는 등 청소년기를 저속하고 소비적인 대중문화로 동화시켰다. 이제는 그 한계에 부딪혀 상식 이하의 언행이 표출 되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염려스러운 것은 그 끝이 어디인지 가늠할 수 없다는 것에 있다.

지도자와 교육자를 막론하고 우리 어른들은 지금 심각한 고민을 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 청소년들이 올바른 가치관과 인격적인 사회인으로서의 성장하기 위해서 바람직한 교육환경과 여건조성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야한다.

무분별하고 근원이 없는 서양문화의 차별적인 수용에 대한 비판과 아울러 우리의 전통 문화의 유지와 보존은 물론 창조적이고 개혁적인 문화 창조에도 적극적인 지원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창공을 가르는 독수리를 좁은 새장에 가둬놓고 독수리의 역량을 발휘하길 기대하는 것은 모순이다. 청소년 특유의 실험정신을 함양하고 자신의 울타리를 과감하게 박차고 나올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성적을 위한 기능적인 교육의 틀을 벗어나 교육의 가치와 본질 그 본연의 사명과 청소년들에게 자기 존재의 가치와 이유를 알게 하는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 또 올바른 학문적 가치와 인격적인 성품을 함양 할 수 있도록 교육적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청소년들을 위해 미흡했던 우리의 교육체제와 그 자체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들에 대해 근본적인 진단과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다.

더 이상 그들로 하여금 우리 사회의 가십거리와 문제아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순전히 어른들의 몫 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강준의 용인대학교 경영학 박사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