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당지역은 수도권 최대의 유기농단지이다. 여기서 생산되는 친환경 채소들은 수도권 도시민들에게 인기가 좋았다. 이 유기농 단지는 하천 부지를 개간한 농지로서 채소·과일 등을 재배해왔다. 농민들은 이곳에서 농약과 화학 비료를 전혀 쓰지 않고 유기농법으로만 30년 동안 땅을 일궈 옥토를 만들었다. 팔당 유기농가들은 사실 아픔이 있는 사람들이다. 지난 1975년 팔당호 일대가 상수원 보호 구역으로 지정된 뒤부터, 하루아침에 생계 수단을 잃어버린 주민들이다.
이들이 하천 부지를 개간해 무공해 친환경 농산물을 생산하기 시작하면서 우리나라에는 유기농 바람이 불기 시작했고 국민들의 관심도 증대됐다. 이에 따라 정부의 지원도 실시됐다.
특히 경기도와 농협은 지난 1990년대 중반부터 농민들에게 지원금을 지급하며 직거래 판로를 열어줬을 뿐 아니라 이곳을 ‘유기농업특구’로 지정했을 정도로 많은 관심을 쏟았다. 현 대통령도 후보 시절인 2007년 이곳을 찾아와 농민들을 격려했을 정도였으며 2011년 9월 26일에는 여기에서 제17차 IFOAM 세계유기농대회를 개최하기로 했다.
그러나 4대강 사업이 시작되면서 사정은 달라졌다. 한순간에 ‘한강 살리기 사업 제9공구’가 돼 버린 ‘대한민국 유기농 특구’의 유기농 단지를 없앤 뒤 제방도로, 생태공원, 자전거 도로조성공사를 실시한다는 것이다.
당연히 유기농가들과 환경단체, 종교단체의 반발에 부딪혔고, 지금까지 첨예한 갈등이 이어져 오고 있다.
특히 이곳의 유기농민들은 ‘상수원 보호 구역으로 묶이면서 땅을 잃은 사람들이 마지막으로 선택한 것이 유기농업’이라면서 또 다시 경작지를 잃는다는데 절망하고 있다. 또 지금껏 친환경 농업을 한다는 자부심으로 살아왔는데 지금까지 지원해 주던 정부가 ‘상수원 오염의 주범’으로 몰아가는데 분노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는 팔당농민들의 분노와 아픔을 끌어안아야 한다.
다행스럽게도 최근 팔당 유기농가 중 대다수가 경기도에서 제시한 대체부지 이전에 동의하고 세계유기농대회 동참의지를 밝혔다고 한다. 김문수 경기도지사와 팔당지역 두물머리 7개 유기농가가 ‘양평 두물지구 유기농육성·지원계획’수용과 유기농지 이전에 합의했다는 것이다. 일단 이번 협약을 환영하면서 앞으로 정부와 경기도가 팔당 뿐만 아니라 모든 유기농가와 유기농 발전을 위해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말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