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구제역 침출수는 또 다른 재앙

안동지역에서 시작된 구제역을 초기에 대응하지 못해 전국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살처분한 매몰지에서 핏물지하수가 나와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등 또 다른 재앙을 예고하고 있다. 살처분 매몰지에서의 침출수 문제는 여러번 문제의 심각성이 제기돼 왔으나 행정당국의 안일한 대처로 반복되고 있다. 특히 구제역이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살처분 가축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구제역 매몰 가축의 침출수로 인한 ‘2차 오염’ 우려가 현실화돼 방역당국에 초비상이 걸렸다.

파주시 광탄면은 구랍 30일 돼지 3천여마리를 묻은 곳으로 하루 뒤인 31일부터 침출수가 새어나왔다. 인근 도랑은 핏물이 섞이며 삽시간에 붉은 색으로 변했고 매몰지로부터 10여m 떨어진 개 사육장으로 흘러 들어 깜짝 놀란 주민이 지난 1일 파주시에 신고했다. 파주시는 정밀조사 결과 돼지를 생매장한 뒤 저류조가 설치되기 전, 예상보다 빨리 침출수가 누출됐다고 설명했다. 통상 매몰한 뒤 침출수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2~3일 뒤 2톤 규모의 저류조를 설치하는데, 매몰 하루만에 침출수가 새어나왔다는 것이다. 이곳은 매몰지 선정에 어려움을 겪다 도랑 인근 2천㎡에 5m깊이로 땅을 파고 돼지 3천여마리를 한꺼번에 묻은 곳으로 빠른 침출수 누출을 예상할 수 있었던 상황이어서 늦은 저류조 설치가 직접적인 원인으로 분석됐다.

이같은 문제는 살처분 가축이 크게 늘어나면서 메뉴얼대로 작업을 하지 못하는 현장의 어려움 때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살처분 당일 매몰지 인근에 저류조를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지만 우선 매몰하고 2~3일 뒤에 저류조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경기지역에서 구제역으로 가축을 살처분해 파묻은 매몰지 450곳 가운데 22곳의 배수로가 설치되지 않거나 비닐 차수막이 훼손되는 등 안전관리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에 따르면 매몰지 450곳에 대한 현황조사결과 21곳에서 배수로를 설치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고 이 가운데 1곳은 가스유공관이 고정되지 않았다.

현재 구제역이 6개 시·도로 확산되면서 전국적으로 2천652농가의 가축 66만8천220마리가 살처분·매몰됐다. 구제역이 계속적으로 추가 발생하고 있고 예방적 살처분 또한 급증하고 있어 앞으로 얼마나 더 늘어날지 예측조차 어려운 상황이다.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매몰시 이중으로 비닐막을 설치하는 등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철저한 작업을 지도하고 있지만 비닐막에 의존해 수많은 가축을 매몰처리 하기 보다는 소각하는 등의 방식을 채택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