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학입시 정시모집에서 경쟁률을 조작하기 위한 조직적인 ‘작전세력’이 개입한 정황이 포착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고 한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지난 10일 “특정 학생을 합격시키기 위해 허수지원을 하는 조직적인 ‘작전세력’이 있는 것으로 의심된다”며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연세대, 한양대 등 20여개 대학에서 농어촌 학생 특별전형, 전문계고 특별전형 등 소수자 특별전형에 엉터리 지원자들이 몰려 경쟁률을 의도적으로 끌어올렸다는 것이다. 경찰 수사 결과 작전세력의 존재가 사실로 드러나면 공모한 학생들은 입학이 취소되는 등 파장이 적지않을 전망이다.
이들 세력은 친구들을 동원해 허위지원하도록 하거나 인터넷 카페 등에서 돈을 주고 허위 지원자를 모집했다고 한다. 실제로 정시모집 마감을 앞둔 지난달 15일 수험생 커뮤니티의 한 사이트에는 “지원자가 별로 없는 전형에 원서를 넣을 예정인데 경쟁률이 치열해 보이도록 허수지원을 해주면 사례비 3만원을 주겠다”는 쪽지가 나돌았다. 해마다 입시 철만 되면 막판 치열한 눈치작전이 벌어지곤 했지만 이처럼 노골적인 작전세력이 등장한 것은 처음이다.
대학들이 입시작전세력을 사실상 방조한 측면이 크다는 사실도 놀랍다. 주민등록번호와 수험번호조차 엉터리로 써넣어도 접수단계에서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다. 사정이 이렇게 된 것은 대학들이 대부분 온라인 원서 접수 때 지원자의 신상, 수능성적, 특별전형 가능 여부 등을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대학들이 사전검증절차에 미온적인 것은 높은 경쟁률을 학교 홍보에 활용하고 있는데다 전형료 수입까지 챙길 수 있어 손해 볼 것이 없기 때문이다.
대입작전세력은 대학들이 조금만 신경을 쓰면 사전에 충분히 걸러낼 수 있다. 당장 대학들은 사전검증 절차를 마련하는데 소홀함이 없어야 할 것이다. 경찰도 적발된 작전 및 공모세력에 대해서는 일벌백계의 엄벌로 다스려야 한다. 입학을 취소하는 것은 물론이고 업무방해 등의 혐의를 적용하는 등 철퇴를 내리는 것으로 입시작전세력이 다시는 준동하지 못하도록 아예 싹을 잘라야 할 것이다.
차제에 비싼 전형료로 폭리를 취하고 있는 대학들의 ‘입시장사’도 손을 보아야 한다. 우선 인건비 등 원가를 따져 도대체 전형료로 얼마가 적정한지를 산출해 자율적인 가이드라인을 공개토록 해야 할 것이다. 상아탑인 대학에서 입시작전세력이 준동하거나 전형료 폭리를 취하는 일이 더는 되풀이돼선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