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출생률이 저하돼 전체 인구에서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고도의 산업화, 도시화, 가족제도의 핵가족화 및 노인부양의식의 약화는 노후생활의 경제문제, 건강문제, 심리문제, 여가선용문제 등을 야기해 노인문제를 점차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시키고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더욱 길어진 노년기 동안 노인들로 하여금 건강하고 보람있는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없게 하고 있다.
그러므로 노인들이 건강을 유지하고 삶에 대한 자신감을 갖으며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자신들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보람있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노인의 사회참여를 촉진시켜야 한다.
노인의 사회참여는 노인을 소극적, 수동적, 의존적, 비생산적 존재에서 적극적, 능동적, 독립적, 생산적 존재로 변모시킨다.
즉 이것은 노인을 수혜자에서 제공자로 변화시키고 자신들이 평생 동안 축적해 온 경험, 지식, 기술, 지혜, 능력 등을 활용해 지역사회의 발전에 공헌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노인의 사회참여의 형태에는 취업을 포함한 경제활동, 취미활동, 교육활동, 운동활동, 단체활동 등을 포함한 여가활동, 정치활동, 종교활동, 자원봉사 등이 있다.
이러한 분야들은 각각 노인의 욕구충족과 노인생활의 만족에 나름대로 기여하고 있다.
이들 중에서도 노인들이 풍부한 경험과 지혜를 활용해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에 봉사하고 자아를 실현하며, 소외감을 극복하고 건강을 유지함은 물론 자신의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면서 노인생활의 안정감과 삶의 만족감을 갖도록 하는 가장 훌륭한 사회참여 분야는 자원봉사일 것이다.
노인의 자원봉사는 최근 비교적 경제적으로 안정된 노인이 증가하고 있으며, 노인이 활용할 수 있는 여가시간이 늘어나고 있고, 노인의 건강수준이 점차 향상되고 있으며, 사회에 유익한 활동을 함으로써 삶의 보람을 찾으려는 노인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신체적, 정신적으로 허약하고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어서 오히려 다른 사람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노인이 상당히 많으며, 자원봉사에 대한 정보와 인식이 결여되어 있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의지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봉사활동이 흥미를 주지 못하며, 자원봉사의 활동분야가 매우 한정돼 있다는 측면에서 노인의 자원봉사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도 있다.
하지만 노인의 자원봉사는 노인 자신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도 유익한 활동이기 때문에 현대사회의 노인들이 동참해야 할 시대적 사명이면서 과제이기도 하다.
노인의 사회참여는 노인이 자신들의 새로운 역할을 찾아 사회활동을 수행하게 되어 소외감이나 열등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며, 보람을 가지고 지역주민들과 통합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노인들에게 삶의 의미와 보람을 갖게 함으로써 노후생활의 만족을 느낄 수 있도록 할 것이다.
그러므로 노인들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노후생활의 만족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노인의 사회참여를 촉진시켜야 한다.
노인의 사회참여는 취업과 같은 경제활동을 통하여 소득욕구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취미생활을 포함한 여가활동을 통해 여가욕구를, 교육활동을 통해 교육욕구를, 스포츠활동을 통해 스포츠욕구를, 또는 자원봉사를 통해 사회심리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노인 스스로의 힘으로 그들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고 노인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노인의 사회참여가 필요하다./장호철 경기도의원(한·비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