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점기에 사할린으로 강제로 끌려간 한인동포들이 그토록 그리워하던 고국으로 돌아오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말부터이니 벌써 20년이 넘었다. 특히 2008년부터 러시아를 비롯한 독립국가연합 국가에서 살던 동포 3천여명이 대거 입국했다. 대부분 고령인 이분들은 현재 국내 19개 지역에서 분산생활을 하고 있다. 경기도 내에는 1천200여명의 사할린 동포들이 안산의 고향마을과 파주 우정마을을 비롯해 화성, 김포, 오산 등의 정착마을에서 대한민국 국민으로 생활하고 있다.
우리는 이분들을 통해 국가가 위기에 처하거나 외세로부터 지배를 당했을 때 국민들이 얼마나 큰 어려움을 겪는가를 배울 수 있다. 이에 경기도는 지난 25일 파주시 문산읍 우정마을 경로당에서 ‘우정마을 행복학습관’ 개관식을 가졌다. 우정마을에는 지난 2009년 12월부터 사할린동포 102명이 정착해 살고 있는데 이날 행복학습관이 개관됨으로써 사할린동포 노인들은 노후의 여가를 즐기고 배우는 기쁨을 누릴 수 있게 됐다. 또 인근의 노인들과 함께 어울려 친교를 나누는 사랑방의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도 행복 학습관이 다른 사할린 동포 정착촌에도 세워지길 희망하며 아울러 정부와 정치권에도 사할린 동포들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촉구한다. 왜냐하면 정부의 부실한 지원과 대책으로 귀국동포들이 마음에 상처를 입고 있기 때문이다. 아마도 대부분 국민들은 이들의 귀국과 정착 비용은 모두 일본이 인도적 차원에서 지원했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거나 잊었을 것이다. 일본 측이 아파트 임대자금 30년치 270억원을 지원하고 동포들 귀국 항공비(200만원)와 일시 정착금도 모두 부담했던 것이다.
뿐만 아니다. 지난 해 8월 일본 간나오토 총리는 담화를 통해 사할린 한국인 지원을 계속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물론 그분들이 사할린에 강제로 끌려간 원인은 일본이다. 따라서 일본의 지원은 당연하다. 그런데 조국인 우리는 지금까지 이분들에게 너무 무심했다. 현재 정부는 2인 기준 가구에 총 100만원 남짓 지원금을 주고 있는데 이중 절반 정도가 의료비로 사용된다고 한다. 대부분 고령자라서다. 더구나 큰 병에 걸리기 라도 하면 보살필 자손도, 기관도 없다. 이분들을 위한 특별법 제정이 시급한 이유다. 그러나 특별법 제정문제는 5년 정도 국회에서 공회전을 하고 있다. 정부의 조속한 생활대책을 요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