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도내 여야의원들은 7일 구제역과 안전관리법 국회 처리문제 및 접경지역지원법 개정, GTX 노선, 수도권 규제 완화, 재개발·재건축 문제 등 다양한 지역 현안들에 대해 초당적인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올해 처음으로 열린 도와 도내 의원간 정책협의회에서 김 지사는 “국회 행안위에 계류중인 재난 및 안전관리법 처리를 부탁한다”며 “경기도 현안 관련 법률이 이번 임시국회에서 통과될 수 있도록 지원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국비 예산 확보에 있어서도 “연평 포격 이후 경기북부지역에 대피 시설이 필요한데, 이 지역에 대해 지방비 뿐만 아니라 국가적 관심을 가져 달라”고 주문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이사철(부천 원미을) 도당위원장은 “여야 의원이 이렇게 함께 모이는 게 오랜만이고, 향후 경기도와 협의하는 좋은 계기가 되길 기원한다”고 말했고, 민주당 조정식(시흥을) 도당위원장은 “접경지역 지원과 보금자리 주택 등도 제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조속히 처리돼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진섭(한·광주) 의원은 “전국 단위 선거가 없는 해에 수도권 규제개선이 결실을 맺어야 한다”며 “금년 내 결실을 맺지 못하면 18대 국회에서 결실 맺기가 어렵다”고 설명했고, 고흥길(한·성남 분당갑) 의원은 “중앙이 규제혁파를 많이 하고 있는데 오히려 현장 기초단체에서 쓸데없는 조례를 만들고 있다는 이야기도 있다”며 재정비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찬열(민·수원 장안) 의원은 GTX 노선과 관련 “GTX 노선을 보면 금정에서 끊어지고 다른 노선은 동탄에서 끊어지는데 왜 수원은 항상 빗겨나가 있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고, 전재희(한·광명을) 의원은 “광명이 GTX의 중심역이 돼야 인천이나 경기북부 쪽으로 노선이 확대될 수 있어 더 강화해 달라”고 요구했다.
구제역 문제에 대해 이범관(한·이천여주) 의원은 “경기도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소 돼지 두수가 있기에 희생도 많은 것”이라면서 “정부가 안이하고 현지 책임적인 이야기만 하는 것은 문제가 있고, 경기도에 대한 확고한 국고지원부터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해규(한·부천 원미갑) 의원은 “재개발 뉴타운사업 등에 대한 제도개선 태스크포스팀을 만들어야 한다”며 “사업성이 떨어져 조합원 스스로가 포기하고 퇴로를 찾는데 그런 방안이 없으니 아비규환”이라고 지적했다.
신영수(한·성남 수정) 의원은 “성남도 LH공사가 중도포기했고, LH공사 사장과 만나 협의해야 할 것인데 재개발 지구지정 취소가 가능하도록 관련한 법안 발의를 준비하고 있다”면서 “문제는 재개발이 한꺼번에 이뤄지면 전세대란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 밖에 김학용(한·안성) 의원은 지역내 철도 인프라와 도로 확충이 시급하다고 요구했고, 김성회(한·화성갑) 의원은 “부지가격이 문제가 되고 있는 유니버설스튜디오 문제를 경기도가 더 신경을 써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원유철(한·평택갑) 의원은 “이대 파주캠퍼스 협의매수와 관련, 도에서 여러 말씀을 국방위에 해줘 지난 연말에 소위가 구성돼 이번 2월 국회가 열리면 청원심사소위에서 본격 다뤄 도 입장이 반영되도록 최대한 노력할 것”이라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