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공항 검역시스템 문제 있다

구제역과 조류독감, 신종플루 등이 유행하고 있는 가운데 공항 검역시스템에 의문을 제기하는 여행객들이 늘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검역 전산시스템을 개선하고, 사람·동식물 방역체계를 일원화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축산인과 축산 관련인에 대한 검역 전산시스템을 가동하고 있지만 허점이 노출되고 있다.

현재 법무부 출입국 전산망에는 축산인과 수의사 등 축산 관련인의 정보가 입력돼 있어 해당자가 입국심사를 받으면 자동으로 ‘소독대상’이란 경고문이 떠 해당 승객은 인천공항 1층에서 짐을 찾고 국립수의과학검역원(검역원)이 마련한 소독시설로 자리를 옮겨 전신 소독과 짐 소독을 마쳐야 한다.

문제는 소독 대상자가 소독 절차를 마치지 않고 입국장을 빠져나갔을 경우다. 검역원은 해당 지자체에 이 같은 사실을 일일이 공문으로 알리고 있다. 하지만 실시간 전달체계가 마련되지 않아 2차 확산의 우려가 있는데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축산인과 축산 관련인 정보도 사실과 다른 경우가 많아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

검역원 관계자는 “축산인으로 등록돼 있지만 직접 운영하지 않거나 폐업한 사례도 있다”면서 “정보를 수시로 업데이트하고, 지자체가 관할 축산주민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시스템 접근권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내 공항은 열감지카메라로 승객을 조사하는 ‘발열감시’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열감지카메라에 고열이 감지되면 귓속 체온계를 이용해 체온을 다시 측정한 뒤 인후도말 검체를 채취해 지역 거점 검사센터에서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방식이다. 또 세계보건기구가 국제보건규칙(IHR)에 따라 정한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중국 등 57개국) 승객에 대해서만 ‘건강상태질문서’를 추가 제출토록 하고 있다. 이런 검역시스템은 잠복기이거나 건강상태질문서에 자신의 몸 상태를 정직하게 적지 않으면 걸러내기 힘든 단점이 있다.

현재 공항검역은 발열감시와 신발소독 정도가 전부다. 따라서 외국 현지에서 갈아입은 옷 등이 여과없이 반입되는 만큼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렇지만 환자가 발생하면 어느 곳을 다녀왔는지, 즉각적으로 역학조사를 할 수 있는 정도의 추적시스템은 꼭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이번 기회에 공항 검역시스템의 철저한 정비로 방역에 만전을 기울여 주길 바란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