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경제가 사상 최악의 대지진으로 흔들거리고 있다. 도로와 철도, 항만 등 기간시설과 주택 수만 채가 파괴됐고, 도요타 등 일본의 3대 완성차업체는 납품업체와 수송망 피해에 따라 일본내 생산을 일단 중단했다. 소니와 도시바 등 북동부 소재 전자업체도 가동을 일시 중단했다.
일본은 원전 등의 가동 중단으로 전력이 부족해지면서 수도권을 포함한 동일본 지역에서 제한 송전에 나섰다고 한다. 금융시장에서도 불안감을 읽을 수 있다. 일본 증시는 동북지역의 대지진 당일인 지난 11일 급락세에 이어 14일에도 개장하자 마자 5% 이상 폭락했다. 대지진으로 인한 인명 피해는 물론 경제적 후폭풍도 점점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세계 3위 경제대국인 일본의 위기는 글로벌 경제에 상당한 타격을 줄 것으로 우려된다. 물론 한국경제도 예외는 아니다. 일본의 대지진이 유럽의 재정위기와 중동.북아프리카 소요사태에 이어 세계경제에 또 다른 악재로 등장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일본 대지진으로 일본의 국내총생산(GDP)이 1%가량 감소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산업계의 피해는 최소 100억 달러, 최대 15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와 제2원자력발소의 방사능 누출과 이에 따른 주민 대피령 등 2차 피해도 계속되고 있어 산업계의 피해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은 대지진의 피해를 복구하는 데 10조엔(약 135조원) 이상이 필요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복구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국채를 무더기로 발행하면 금융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다.
우리 정부는 일본 대지진에 따른 국내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분야별 총력 대응에 들어갔다고 한다. 정부는 일단 한국 경제와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이고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지금 상황만 갖고는 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경제적 후폭풍을 정확히 분석하기는 쉽지 않지만 아직 안심할 단계는 아니다. 대지진의 피해 규모가 얼마나 더 늘어날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그렇기 때문에 최악의 상황을 염두에 두고 장단기 대책을 세워둬야 한다. 일본시장은 우리 수출의 6%, 수입의 15%를 차지한다. 일본으로부터의 소재.부품 수입비중은 15∼20%에 달한다. 일본 경제가 휘청거리면 우리 경제가 직접적인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 김황식 국무총리가 국무회의에서 “일본 동북부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 피해가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세밀히 분석해 대비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듯이 정부 당국은 철저한 대책을 강구해놔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