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3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인천시, 향토기업 이탈 막기 나선다

53년간 활동 삼익악기 지방이전 대책 마련
R&B 기능 강화 고부가 가치화 전환 유도

인천시가 점증하고 있는 향토기업의 탈 인천을 막기위해 각종 정책대안을 마련했다.

인천시는 노동집약적 산업의 생산기지 해외이전 및 수도권 소재기업의 수도권 이탈은 이미 오래전부터 진행돼 왔지만 53년간 인천에서 기업활동을 했던 향토기업 삼익악기가 지방으로 이전을 추진하는 것을 계기로 종합대책마련에 나선것.

16일 시에 따르면 이같이 노동집약적 산업의 해외이전의 주요한 원인은 국내 생산비용의 상승에 있으며, 특히 악기, 가구, 신발, 의류 등 노동집약적 제조분야에서의 계속적인 국내 인건비 상승으로 많은 기업들이 해외 현지공장을 설립하는 실정이다.

게다가 이들 노동집약적 기업들은 싼 노동력과 땅값을 기반으로 생산체제를 유지해 왔으며, 삼익악기 역시 수년 전부터 중국, 인도네시아 등 현지 생산라인을 통해 대부분의 악기를 제조해 왔다.

이같은 탈 수도권 현상의 주원인은 수정법 및 산집법에 따른 규제정책으로 수도권 기업의 경영활동은 제한적인 반면, 이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비수도권 지역의 지자체에서는 공장부지 무상제공, 보조금 등 각종 혜택이 지원돼 기업의 지방이전을 유인하고 있다.

따라서 인천시는 기업의 지방이전을 최소화하고, 성장성 높은 기업을 유치키 위해 산업구조 개편과 아울러 기업육성 대책을 추진에 나서 우선 인천산업의 기반인 제조업체들이 노동집약성을 완화하고 R&D기능 강화를 통한 고부가가치화로 전환을 유도할 방침이다.

또한 기존 Cash-Cow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미래를 이끌어갈 신성장동력산업으로 IT, 신소재, 바이오, 의료, 로봇산업 등을 선정하고, 경제자유구역내에 우선 유치해 체계적인 육성전략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산업단지 구조고도화의 일환으로 국가산업단지인 남동공단을 QWL(Quality of Working Life) 시범지역으로 전환하고, 향후 산업단지 전체로 확산할 계획이며, 지역산단 등 공장밀집지역을 도시재생과 연계해 도시의 산업기능을 재편하는 계획도 가시화 되고 있다.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