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증가하는 청소년결핵, 적극 대처 필요하다

결핵은 흔히 ‘못 먹어서 생긴 병’으로 알려지고 있다. 김유정과 이상도 1937년에 서른을 못 넘기고 결핵으로 죽었다. 어떤 평론가는 김소월의 시들이 ‘결핵과의 싸움에서 지친 한(恨)을 담고 있다’고도 했다. 셸리나 키츠 같은 이들도 결핵을 앓았다. 결핵은 과거 가난하던 시절 우리나라 사망률 상위권을 유지하던 전염병이었다. 결핵은 1965년 전후에는 124만명이 감염될 정도로 전염성이 강한 무서운 질병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경제사정이 좋아지면서 점차 자취를 감추었던 결핵이 다시 증가하고 있다. 특히 걱정되는 것은 노숙인, 외국인노동자, 노인 등 이른바 취약계층 뿐 아니라 청소년들에게도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관련기관의 자료에 따르면 우리 국민의 3분의 1이 결핵균을 갖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평균 발병율은 감염자의 10%로 나머지 90%는 발병하지 않는다. 그러니까 보균자라 해도 건강만 조심하면 발병되지 않는다는 얘기다. 그런데 사라진 기억 속의 질병 정도로 생각했던 결핵환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결핵환자의 증가는 결핵에 대한 무지와 불규칙한 생활, 무리한 다이어트로 인한 영양 불균형 등이 원인이 되고 있다고 한다. 최근 안산의 한 고교에서 집단 결핵 감염 사태가 발생했다. 비록 지금은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었다고는 하지만 충격적인 것은 인생에서 가장 최절정기의 체력을 지니고 있어야 할 젊은 학생들이 결핵에 감염됐다는 것이다. 최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도내 거주 청소년(10~19세)의 결핵 감염 인원은 2006년 461명, 2007년 515명, 2008년 415명, 2009년 431명 등 매년 경기지역 전체 환자 대비 8% 안팎의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도교육청의 집계와 비교하면 2배 정도 많은 것이다.

이처럼 차이가 나는 것은 각 학교별로 결핵 검사 주기가 다르고 보건소와 병원과의 협력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즉 체계적인 관리가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학교처럼 공동생활을 하는 곳에서는 감염되는 질병에 대한 관리가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 따라서 학교와 의료 관련 기관의 협조가 강화돼야 한다. 결핵감염이 확인된 학생들은 바로 학교로 통보해 확산이 되지 않도록 조치해야 하는 것이다. 또 결핵 예방을 위해 인력과 예산, 장비 등을 늘려야 한다. 특히 경기도내 결핵감염 학생 환자가 매년 조금씩 늘어나고 있는 현실에서 자치단체와 교육기관의 대응책이 절실히 필요하다. 우리의 미래가 병들어서는 안된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