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창룡문] 이승만 왕벚나무

“세계자연유산 한라산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왕벚나무 자생지로 제주에는 살아 있는 보물과도 같은 자원이다. 자생지를 보존하고 다양한 유전자원을 이용한 연구를 통해 왕벚나무와 같이 세계인에게 사랑 받을 수 있는 또 다른 보물로 만드는 일에 노력해야 한다.” 미국 농업연구원 벨츠빌지역 국립유전자원부 정은주 박사가 지난해 3월 ‘왕벚나무 자생지-제주’를 주제로 한 말이다.

미국의 수도 워싱턴 DC의 벚나무는 1910년 일본 도쿄시장이 2천 그루를 기증하면서 처음 심어졌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미국인들은 벚나무가 모두 일본산이라고 생각을 한다. 미국에선 1935년 처음 벚꽃축제가 시작돼 필라델피아, 뉴저지, 샌디에고, 시애틀, 하와이 등 전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또 캐나다와 영국, 독일 등 세계 각국에서도 벚꽃축제를 열만큼 봄축제의 대명사가 됐다.

워싱턴 DC에 있는 아메리칸 대학에 ‘한국 정원’이 생긴다. 아메리칸대가 한국정원을 조성키로 한 것은 초대 이승만 대통령이 1943년 4월 8일 이곳에 심은 제주산 왕벚나무 때문이다. 당시 미국에 망명 중이던 이 전 대통령은 한국에서 선교사 생활을 했던 폴 더글러스 당시 아메리칸대 총장과 함께 한국 독립을 염원하는 지성인들의 의지를 담아 국제관계대학(SIS) 건물 옆에 네 그루의 벚나무를 심었다. 이 중 한 그루는 수년 전 고사하고 현재 세 그루가 남아 있다. 아메리칸대는 1997년 한국정원을 조성키로 하고 기금 마련을 위해 미국 내 한국동포 단체, 주미 한국대사관 등에 도움을 청했지만 한국의 외환위기로 어려움을 겪는다. 그후 한국정원 프로젝트는 루이스 굿맨 국제관계대학장이 나서면서 탄력을 받는다. 굿맨 학장은 “‘이승만 왕벚나무’를 중심으로 환경 친화적인 한국식 정원을 조성하면 벚나무는 모두 일본산이라는 미국인들의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을 수 있을 것”이라며 지원을 호소했다.

이 소식은 2008년 정은주 박사에게도 알려져 굿맨 학장을 지원하면서 프로젝트는 급물살을 탄다. 특히 정 박사 등의 노력으로 ‘이승만 왕벚나무’가 한국산임이 확인된 것이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워싱턴 포트맥 강변의 벚나무도 대부분 제주산 왕벚나무라는 게 정 박사의 설명이다. 포트맥 강변에는 현재 3천800여 그루의 왕벚나무가 있다.

25일(현지시간) 개장하는 한국정원은 국제관계대학 건물 6천500㎡를 둘러싸는 공간 전체에 한국 토종 나무와 꽃들을 심고 돌하르방 등 한국의 조각품으로 장식했다. 미국 최초의 한국식 정원이 미국인들의 폭넓은 사랑을 받았으면 한다. /이해덕 논설위원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