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대책위에 따르면 인천만조력발전소 건설계획은 인천앞바다의 치명적인 해양훼손이 불가피해 지역어민과 시민단체 등으로부터 지속적인 문제제기가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송영길 인천시장도 지난 6.2 지방선거시 인천만 조력발전 건설백지화를 선거공약으로 채택한 바 있으며, 시의회에서도 지난 연말 시의원 전원 동의하에 인천만조력 발전 건설 백지화 결의문을 채택한 바도 있다.
게다가 사업주체인 한수원은 지난 15일 법적으로 진행돼야 할 주민 설명회를 생략한다고 발표하며 더 이상 인천시민 의사수렴을 하지 않겠다는 공고를 하면서 파장이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
이에 민관공동대책위에서는 조력댐건설사업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이나 경제성 등 여러 측면에서 과학적 입증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제기해 왔다.
아울러 강화갯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때 까지 인천만 조력발전사업은 보류해야 한다는 의견을 개진해 왔다.
따라서 이와 같은 주장과 의견의 관철을 위해 인천지역의 각 정당과 시민사회, 종교계, 학계등과 함께 민관공동대책위 구성에 박차를 가해 발족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한편 ‘공동 대책위’는 인천시를 대표해서 신동근 정무부시장과 시의회를 대표해서 김기홍 부의장과 시민사회 대표, 상임대표, 지역주민 대표, 학계대표 등 6인의 공동위원장으로 민관공동대책위를 발족, 자문위원장, 범시민서명운동 본부장, 공동집행위원장을 선임하고 활동에 들어간다.
/김상섭·신재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