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종택의 아름다운 기부

군포시 속달동에 있는 동래정씨 동래군파 16대 종손인 정운석(98)옹과 그의 9남매가 종택(宗宅·경기도문화재자료 제95호)과 그 관련 대지 및 전답(1만8천176㎡)을 문화유산국민신탁(이사장 김종규)에 기증키로 하고 3일 오후 2시 종택에서 체결식을 가진다고 한다. 공시지가로 따져 35억 2천만 원, 시가로는 80억 원이 넘는다.

군포 수리산 동쪽 자락에 자리 잡은 종택의 역사는 조선 중기의 문신 정광보(1457~1524)가 마을에 들어오면서 시작됐다. 현재 안채와 사랑채, 작은 사랑채, 행랑채 등 5동 60칸이 남아 있다. 안채는 정조 때인 1783년, 사랑채는 고종 때인 1877년에 고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후기 살림집의 전형적인 특징인 맞배지붕의 아름다운 외관을 갖췄다.

정운석 옹은 일찌감치 자식들에게 집과 농지의 소유권을 넘겨줬다. 어릴 때부터 귀에 못이 박히게 “남을 위해야 한다”는 말을 듣고 자란 형제들은 6~7년 전부터 종택을 공적(公的) 공간으로 만들자고 의견을 모았다고 한다. 이번 기증의 주역이기도 한 셋째 용수(63)씨가 넌지시 종손인 큰형과 둘째형에게 묻자 형들이 선뜻 동의한 것이다. 형제들은 소유권을 포기함으로써 종택을 영원히 지킬 수 있게 된 기쁨이 더 크다고 했다.

용수씨는 “대대로 자부심을 느끼면서 사는 게 더 큰 것을 얻는 것”이라며 “몇 대를 걸쳐 내려가면서 정신이 더 살찌지 않겠느냐”고 했다.

동래정씨는 조선시대에 정승만 17명을 배출한 명문이다. 정광보는 조선 세조 때의 문신이며 뛰어난 서예가였던 동래군 정난종(1433~1489)의 큰아들이고, 동생은 조선 중종 때 영의정을 지낸 정광필(1462~1538)이다. 정광보·광필과 그 자손들의 묘도 종택 뒷산에 모셔져 있다. 20세기의 대표적 국학자인 위당 정인보 선생도 이 집안사람이다. 위당의 아들인 정양모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을 비롯해 정진석 청와대 정무수석, 정동영 민주당 최고위원 등이 매년 시제(時祭·음력 10월에 5대조 이상의 조상 무덤에 지내는 제사) 때마다 모두 종택에 모인다고 한다.

문화유산국민신탁이란 문화유산을 신탁 받거나 국민의 헌금·기부를 바탕으로 매입해 보존하는 운동을 벌이는 특수법인이다. 1895년 영국에서 문화·자연유산의 보존을 위해 시민들이 시작해 전 세계로 퍼져 나간 내셔널트러스트(National Trust)를 모델로 삼아 2007년 3월 출범했다. 이에 따라 문화유산국민신탁은 이 종택과 농지로 친환경 농촌공동체를 조성해 군포의 브랜드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한다. 김종규 이사장은 “경주에 최부잣집이 있다면 군포엔 정부잣집이 있는 것”이라며 “한국적 토양에 맞는 내셔널트러스트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노블레스 오블리주 가풍(家風)을 이어받은 종택의 결단에 박수를 보낸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