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대통령 선거에 나설 한나라당내 인사는 대선 1년 6개월 전에 선출직 당직에서 사퇴하도록 되어 있다. 한나라당 당헌당규가 그렇다. 대통령선거를 공정하게 관리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최근 한나라당 잠룡중 한사람인 정몽준 전 대표가 대권.당권 분리규정 개정을 제안했다. 대선 예비후보에게도 당권의 길을 열어주자는 주장이다. 이는 최근 4.27 재보선 이후 ‘박근혜 역할론’과 ‘이재오 당 복귀론’ 등과 맞물려 조기 전당대회를 둘러싼 최대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친이계는 “한나라당의 미래를 이끌 리더들이 전면에 나서서 당을 책임지고 끌고 가야 한다”며 찬성입장인 반면 친박계는 “정치활동을 자제하는 박근혜 전대표를 ‘링 위에’ 세우려는 의도”라며 대체로 반대가 우세하다.
이런 분위기속에서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당 대표 출마 의사를 밝히면서 발언 수위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는 보도다. “다른 대선주자들이 모두 나오면”이라는 단서가 붙기는 했지만 도지사에 당선되고 취임 1년도 안된 도정 책임자로서 무책임한 발언이라는 지적이 많다. 한나라당 당헌.당규에도 어긋날뿐더러 대선 주자 모두가 나온다는 보장도 또 기대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왜 이런 발언을 했느냐는 것이다.
오세훈 서울시장 측은 즉각 반발하고 있다. 오 시장의 측근인 이종현 서울시 대변인은 이날 한 언론과의 전화통화에서 “대선주자들이 당대표 선거에 다 나오라는 것은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없고 무책임하다”고 말했다.
김 지사의 이같은 발언에 대해 측근들은 “당원 자격으로 한나라당을 걱정하는 마음에서 나온 발언”이라고 애써 축소하려고 하지만 일파만파 커지고 있다.
4.27 재보선 이후 당내 주력부대인 친이계와 친박계가 한나라당 주도권을 잡기 위해 암투를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자칫 뒷전으로 쳐질 것을 우려해 자기과시를 위한 ‘언론용 발언’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많다. 김 지사는 지난해 지방선거 당선 이후 전국을 대상으로 특강 정치를 감행하고 있지만 각 언론이 보도하는 대권후보 지지도 조사결과 침체국면을 벗어나지 못하자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는 것이 역력하다. ‘도정에 전념하면 대권이 보인다’는 도민들의 지적에 귀 기울여야 할 때가 되지 않았나 한다./안병현 논설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