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설] 맹물 구제역 차단소독기 발명한 도의원

지난 겨울 내내 온 나라를 공포로 몰아넣었던 구제역이 지금은 주춤한 상태이지만 언제 어디서 또 다시 발생할 수 있을지 아무도 모른다. 이번 구제역으로 축산농민들은 공을 들여 키우던 가축을 잃었고 생활의 기반도 잃었다. 방역에 나섰던 공무원들도 과로와 사고로 죽거나 부상을 당했다. 이른바 ‘살처분’과 생매장 현장을 담당했던 이들은 지금도 정신적인 트라우마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함부로 구제역 지역을 다닐 수 없었으며 매일 매일 급등하는 축산물의 가격으로 인해 고통을 받았던 국민들도 피해자였다.

무려 347만 마리의 소와 돼지를 살처분해 매장해야 했던 끔찍한 사건이 다시 발생하지 않기를 바라는 것이 모든 국민들의 마음이다. 그런데 방역작업 당시 발암물질 등 독성이 강한 물질이 대량으로 사용됐다고 국민일보가 지난 5일 보도해 구제역은 끝난 재난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해줬다. 보도에 따르면 정부는 방역요원들에게 적절한 보호조치를 취하지 않아 확인된 사상자 중 상당수가 독성물질 중독을 의심할 만한 증상을 나타낸 것으로 드러났다는 것이다. 이 가운데 발암물질로 분류되는 폼알데하이드(포름알데히드)는 4.8t이 사용됐고, 환경부가 유독물로 지정한 글루타알데하이드는 63t이 뿌려졌다고 한다.

이에 대해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곧바로 “구제역 방역 당시 소독제는 최소 100배 이상 희석해 사용하므로 직접 대기, 토양, 하천 등으로 유출되는 양이 적고 잔류성이 낮아 유해성은 거의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급성중독의 전형적 증상을 나타낸 사례가 상당수 포함돼 있어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경기도의회 박종덕 의원(한·양평2)이 맹물을 이용한 구제역 차단소독기를 발명해 화제가 되고 있다. ‘신농-5300’이라는 차단 소독기는 맹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약제를 이용했을 경우 발생하는 환경오염과 인체 유해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획기적인 발명이 아닐 수 없다.

물 전기분해 장치를 장착해 맹물을 pH(산도)2.5의 산성수와 pH12의 알칼리수로 분리한 뒤 희석시켜 pH4.5 이하의 강산성화해 분사, 소독함으로써 구제역 바이러스를 사멸시킬 수 있다고 한다. 가격은 시중의 장비와 비슷하며 설치에 20분밖에 걸리지 않아 경제성과 기동성이 뛰어나다는 것이다. 오늘(17일) 열리는 방역장비 시연회에서 소독기를 선보인다는 데 검증이 이뤄진다면 정부나 지자체에서 예산을 투입해 적극 보급에 나서길 바란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