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이달 말 의정부 도2청사에서 행정2부지사 주재로 ‘경기북부 그랜드 플랜 수립 보고회’를 갖는다. 그런데 이 보고회가 관심을 끄는 이유는 경기북부를 발전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방안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바로 경기 북부 DMZ에서 강원도 동해안을 잇는 도로와 철도를 건설하자는 것이다. 즉 파주 임진각 DMZ를 따라 국토를 횡단해 강원도 동해안에 이르는 도로를 건설하는 방안과 경원선 신천리 역에서 DMZ를 끼고 강원도와 금강산에 이르는 철도 노선을 연장하자는 것이다.
이 방안을 획기적이라고 하는 이유는 이 지역을 잇는 도로와 철도야 말로 경기북부 지역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반시설이기 때문이다. 경기남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돼 있는 경기북부 지역의 발전이 더딘 이유는 남북한이 첨예하게 대치해 있는 접경지역이기 때문이다. 이 지역은 관광자원이 풍부함에도 44%가 군사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는 탓에 일반인들이 손쉽게 갈 수 없는 곳이라는 선입관을 갖고 접근을 꺼리고 있다.
김문수 지사는 지난 2009년 12월 경기북부 지역을 방문, 기관 단체장 모임에서 “경기북부는 희망이 가장 많은 지역이며 로또의 상황, 대박이 터질 수 있는 유일한 곳”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 말은 앞으로 통일이 되면 대박을 맞을 수 있다는 희망을 준 것으로 맞는 이야기일 것이다. 하지만 현재 경기북부 지역은 남북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분단의 현장이자 낙후지역일 뿐이다. 지난 4월 29일 경기북부 등 접경지역의 발전을 모색하기 위한 ‘접경지역지원법’이 특별법으로 격상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 법으로 인해 접경지역에 대규모 개발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됨으로써 지역발전의 기폭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아직 넘어야 할 산은 많다. 군사시설보호법이나 수도권정비계획법, 국토기본법 등보다는 하위법이어서 대학과 공장의 신·증설 등은 여전히 규제를 받는 ‘반쪽짜리’ 법이다. 이번에 논의될 DMZ에서 강원도를 잇는 국토 횡단 도로·철도 신설 사업에 대한 실현 가능성 여부 역시 아직 불투명하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이 사업은 분명히 타당성이 있다는 것이다. 걸림돌은 예산과 특히 DMZ를 비롯한 군사시설이다. 이 사업 추진에 많은 어려움이 있겠지만 반드시 성사되기를 바란다. 김 지사의 말처럼 경기북부 주민들은 도로망과 철도가 너무 낙후돼 있어 사람들이 희망이 없는 지역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