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숙자는 IMF의 암울하고 긴 터널을 지나오는 동안 급증했다. 그 전엔 일본이나 유럽의 노숙자를 TV나 신문을 통해 보면서 ‘저들은 왜 저렇게 살아갈까?’하는 호기심을 갖는 정도였다. 그러던 것이 우리나라의 경제가 무너지면서 중소기업이 줄줄이 도산 하고 가정이 붕괴되면서 길거리에 나앉는 사람들이 크게 늘어났다. 이제 노숙자문제는 우리사회의 커다란 문제점으로 대두된 것이다. 많이 줄었다지만 정부의 공식통계로 4천500명에 이르고 실제 숫자는 더 많을 것으로 추산된다.
노숙자들은 대개 역 대합실이나 공원, 고가도로 아래에 모여 있다. 종이컵에 안주도 없는 소주를 마시며 옹기종기 모여 있는 그들의 모습을 보는 사람들의 마음이 편치 못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어떤 공원에서는 밤늦게 운동을 나간 주민들이 술 취한 노숙자들로부터 봉변을 당하기도 한다. 돈을 구걸하다 거부당하면 욕설을 퍼붓는 노숙자도 있다. 노숙자들이 살인을 저지르기도 한다. 이렇게 사회의 지탄을 받고 있는 노숙자들이지만 정부나 자치단체에서 마련해 준 노숙자 쉼터를 거부한다. 노숙자 쉼터에는 자유가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노숙자들의 자유’를 위해 언제까지 역이나 공원에 방치할 수는 없는 일이다. 우선 노숙자 자신을 위해 노숙행위는 막아야 한다. 노숙기간이 길어질수록 본인은 재활의 희망을 잃고 점점 더 심신이 망가져갈 뿐이다. 사회질서를 위해서도 노숙을 방관해서는 안된다. 정부나 지자체는 노숙자들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보호를 위해 여러 가지 대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천해야 한다. 때마침 경기도가 노숙자 상담보호센터를 확대 개편해 ‘종합지원센터’를 구축, 지정병원 등과 연계된 의료서비스에서부터 주거·일자리는 물론 사회복귀까지 돕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현재 노숙인 지원시스템이 임시주거 지원을 넘어 자활 및 사회복귀까지 이뤄지게 된다. 특히 알코올센터와 정신보건센터·결핵센터 등 전문시설과 장애인시설·정신요양시설·보호재활시설 등 자활전문시설과 연계된다고 한다. 한마디로 자활의지만 있으면 주거와 일자리는 물론 사회복귀까지 정부와 지자체가 돕게 되는 것이다. 노숙자의 통계산출, 상담센터의 시설기준 보강 등 일부 문제점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관공서 힘만으로 어려울 수 있는 부분들이 있다. 이럴 땐 사회적 네트워크를 적절히 활용하고 필요하다면 종교계의 힘도 빌려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