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과천시 별양동 중심상가에 자리 잡은 모 건설회사가 문을 닫았다. 몇 개로 나눠 사용하던 사무실을 정리했다. 무려 100여 명이 되던 직원들이 사라진 것이다.
여파는 인근 상가 음식점에 바로 나타났다. 그 회사 직원들이 다니던 식당에는 손님들이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식당 주인들은 작은 회사 하나가 사라져도 이렇게 여파가 큰데 과천정부청사가 이전하고 나면 얼마나 큰 타격을 입게 될 것인가 걱정이 태산이다. 하루하루 불안한 미래 속에서 살고 있는 것이다.
과천은 1979년 정부청사 착공과 함께 탄생한 대표적 전원도시이다. 하지만 지금은 시내 곳곳에 정부를 비판하는 현수막이 내걸리고, 시민들은 거리시위에 나서고 있다. 특히 웃돈을 주고 세를 얻어야 했던 중심상가와 식당의 거래는 급감했고 도시의 공동화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늘어가고 있다. 정부청사 이전은 7개월 후에 시작되지만, 67만5천㎡의 청사 터 활용 방안 등 과천시를 위한 지원 대책은 전혀 나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인구 7만인 과천시는 정부청사 기능과 경마장 시설로 지역경제를 지탱해 오고 있다. 특히 정부청사는 과천을 대표하는 도시 정체성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체 면적의 89.6%가 개발제한구역에 묶여 있고 시내 대부분이 청사와 주택과 아파트단지로 이루어졌다. 정부청사 이전은 지역경제의 50%를 차지하던 기능이 송두리 채 사라지는 것으로 과천의 암울한 미래가 예상되는 이유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믿음을 주는 후속 대책을 내 놓지 못하고 있다. 불안한 과천시민들의 몸부림은 당연한 것이다.
특히 더욱 안타까운 것은 경기도와 과천시는 정부청사와 공공기관 이전부지 활용에 대한 아무런 권한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정부의 결정사항을 마냥 기다려야 하는 딱한 사정이다.
지난 5월 2일부터 과천시의회 정부청사이전대책특별위원회는 국무총리 공관 관사 앞에서 정부과천 청사 이전에 따른 지원 대책을 촉구하기 위한 1인 시위를 의원 6명이 순번을 정해 지속적으로 펼쳤다.
내가 총리 공관을 찾던 날은 비가 내리는 궂은 날씨였다. 이른 아침, 총리공관 관사 앞에 도착하니 과천시의 대표라는 사명감이 나를 더 긴장시키는 것을 느꼈다. 바라는 것은 단 하나였다. 과천시의 미래와 시민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위해, 과천시의 안정적인 재정을 위해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것, 그 점을 전달하고 싶었다.
1인 시위를 하는 동안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스쳐가는 자동차 운전자에게 내가 걸고 있는 피켓을 좀 더 잘 보여주기 위해 노력했다. 그런 마음을 국무총리에게 알리고 싶었다.
정부청사가 이전하는 상황에서 경마장에서 나오는 마권세가 언제까지나 과천의 세수를 책임질 수 있다고 장담하지 못한다. 장기적인 과천발전 방안을 위해 가장 근본적인 것은 무엇보다도 확실한 재정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것만이 과천시가 ‘행정도시’에서 ‘유령도시’로 전락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대안이라고 믿고 있다.
국무총리실에 구성된 TF팀에는 과천시장과 경기도 행정부지사가 포함되어 과천시의 입장을 제대로 반영 할 수 있어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과천에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현재 상태보다 더 나은 결과를 얻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