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대체 뭘 어쩌자는 것인지 모르겠다. 용인 경전철 말이다. 공사를 마치고도 적자 우려 등으로 개통을 못하고 있자 급기야 용인시의회 경전철 특별조사위원회가 지난 31일 예강환, 이정문 등 전직 시장과 이우현 전 시의회의장을 소환해 경전철 추진 배경 및 수요예측 잘못 등에 대해 추궁을 했다. 이에 이들은 입을 맞춘 듯 이구동성으로 “분당선 개통 및 타 지역개발 사업 지연 등이 문제”라고 주장했다.
이미 엎질러진 물을 어쩌자는 것인지, 이날 용인시의회가 ‘전직’들을 소환한 것을 두고 하는 말이다. 행여 잘못이 드러날 경우 법적인 절차를 밟겠다는 것인지는 몰라도 이들이 소환을 앞두고 사전에 입을 맞췄을 개연성은 충분하다. 그렇지 않고서야 답변이 하나같이 똑같을 리가 없다. 그렇다면 과연 이런 소환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민간사업자와 용인시가 경전철 건설사업 협약 당시 시의회 의장을 지낸 이 전 의장은 “용인경전철 문제는 2009년 개통돼 경전철과 연계될 예정이던 분당선 공사가 지연되고, 관내 곳곳의 각종 개발 사업들이 지연되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주장했다.
1996년부터 용인 경전철 사업 검토가 시작된 가운데 1999년 9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시장직을 역임하며 경전철 건설을 위한 대부분 행정절차를 진행했던 예 전 시장도 “용인경전철은 지역과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수단이기보다 분당선 환승이 주기능이었다”며 분당선이 제때 개통이 됐다면 이같은 경전철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취지로 답변했다.
민간 시행사와 용인시 사업 협약 당시 시장을 역임한 이 전 시장은 마지막 답변자로 나서 수요예측 부실 여부 등을 놓고 특위 위원들과 열띤 공방을 벌였다. “당초 경전철 수요예측이 빗나간 것이 아니고 공사가 지연되고 있는 분당선과 연결되지 못하고, 처인지역 개발 사업 등이 지연됐기 문제”라고 주장한 이 전 시장은 “당시 경전철 수요예측은 분당선 개통, 각종 개발 사업 진행 등을 감안해 이뤄진 것”이라고 항변했다.
어쩌면 신통하게도 답변이 하나같이 똑같기만 하다. 그러니 이런 특위는 하나마나다. 공연한 시간낭비요, 말장난일 뿐이다. 마치 한 편의 블랙 코미디를 보는 듯한 씁쓸함마저 든다. 이럴 바에야 도시계획 전문가들을 초청해 향후 경전철의 합리적인 이용에 대한 세미나를 개최하는 편이 훨씬 바람직해 보인다.
이날 2명의 전 시장은 증인, 이 전 의장은 참고인으로 소환됐다. 특위는 이날 출석한 2명의 전직 시장과 의장을 포함해 모두 15명을 증인 또는 참고인으로 소환한 가운데 1일까지 조사를 계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