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 61주년. 무상한 세월에 밀려 우리의 국민들에게 6.25에 대한 기억은 어느덧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만 가고 있다.
그러나 그 긴 시간 동안에도 하루도 빠짐없이 뼈 마디 마다 상흔을 안고, 한반도의 정 중앙 허리에서 그 무거운 역사의 짐을 지고 살아온 도시와 사람들이 있다. 바로 동두천, 동두천 시민들이다. 올해는 동두천시에 미군이 주둔한지 60년째가 되는 해이다. 동두천은 산악지형이 68%, 미군기지 공여구역이 42%, 군사시설보호구역이 28%로 온갖 그물규제에 개발이 제한돼 왔고, 수도권 역차별을 온 몸으로 느끼면서 나라의 안전과 국민의 행복이라는 명목으로 지난 60년 간 수많은 희생을 감수해 왔다.
지난해 경기도와 동두천시가 동두천 지원을 주제로 개최했던 토론회에서 박한상 박사는 “미군기지가 주둔한 58년 간 총 지역경제 손실은 17조4천511억원(연간 약 3천억원 규모)에 달하고, 기지이전이 2011년에서 2016년으로 5년 지연되면 총 2조2천968억원(연간 4천594억원)의 손실을 입게 된다”고 분석한 바 있다.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등 지원 특별법에 의하면 공여구역이 40%가 넘는 지역에 대해 지원도시로서 지정할 수 있는 근거가 있음에도 정부에서는 수도권 정비법 등을 들어 규제를 하고 있으며 동두천 미군기지를 팔아 기지가 옮겨가는 평택에는 18조원의 예산을 주고 있으니 이를 어느 누가 납득할 수 있겠느냔 말이다. 얼마나 동두천이 돈이 없고 애통했으면 공여지를 살 돈이 없으니 차라리 매입과 개발을 포기하고 공원지역으로 지정하겠다는 말까지 나왔을까.
‘용산공원조성특별법’을 제정해 서울시민들을 위해서는 엄청난 부지를 제공하고 1조5천억원의 정부예산을 투입해 민족공원까지 조성해주고 있으면서 60년 동안의 희생도 모자라 이제 빠져나가는 미군들을 넋을 잃고 바라보고 있는, 지역경제의 죽음을 운명처럼 받아들여야 하는 동두천에게는 지원을 해줄 수 없다니. 도무지 무엇이 공정이고 무엇이 정의인지 이해할 수가 없다.
정부는 이것을 알아야 한다. 나라를 위해 희생한 지역과 사람들에게 공정한 보상을 해주지 않는다면 우리는 더 이상 우리 자식들에게 나라를 위해 땀 흘리며 일하라고 말할 수도 없고 말할 자격도 없다.
동두천은 피해의식에 마냥 주저앉아 있지만은 않을 것이다. 공여지 매입비용이 없어 공원으로 지정할 수밖에 없다면 60년 전 나라를 지킨 참전용사와 그 혼을 기리는 역사적인 공원을 만들 것이고, 무슨 수를 써서라도 온 국민에게 60년 동안의 전쟁의 상흔과 분단의 아픔을 잊지 말아달라고 몸부림을 치며 호소할 것이다. /심화섭 동두천시의원(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