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사용승인’여부를 둘러싼 주민들의 민원이 날을 넘겨 토요일 새벽까지 계속된 가운데 담당부서인 주택과를 제외하고 ‘암흑천지’로 변한 용인시청 공직자들의 근무 행태가 구설수를 자초하고 있다.
특히, 간부 공무원들의 연이은 음주와 추문, 이권개입설 등으로 공직기강 해이가 극에 달했다는 지적속에 취재기자들은 물론 만일의 사태에 대비, 경찰마저 비상 출동한 상태였던 것으로 확인되면서 안팎의 비난이 쏟아지고 있는 상태다.
‘문제의 발단’은 ‘아파트 준공’과 관련해 지난 30일에 이어 1일에도 이어진 성복동 ‘H’아파트 주민들의 반대 민원, 100여명의 주민들이 1일 오후부터 시청에 항의방문하면서 시작된 ‘일촉즉발’의 긴장되는 순간은 자정을 전후해 일부 주민 대표를 제외한 대부분의 주민들이 철수하면서 마무리됐고, 주민대표들은 새벽 1시 이후까지 항의를 계속했다.
이런 비상사태에도 불구하고, 시 본청에는 도시국장과 주택과장 등 담당부서 직원들을 제외하곤 행정국장과 행정과 하위직 공직자 3명만이 사태해결에 급급했던 것으로 드러나 해도 너무 한 것 아니냐는 비아냥마저 일고 있다.
시민 이 모(37·동백동)씨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경찰력까지 비상대기하고 있던 중에 시청 핵심부서 간부들이 자리를 비운다는게 쉽게 이해되지 않는다”면서 “말로는 시민중심 감동행정과 공직화합을 외치지만, 내 일이 아니면 그만이라는 공직이기주의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 같아 씁쓸하다”고 말했다.
공직자 A씨도 “다른 부서는 그렇다 해도 행정과 등 주요부서 관계자들까지 자리를 비웠다는 것은 상상도 못할 일”이라며 “국장이 남아 있었다곤 하지만 보고체계와 공직기강이 심하게 위협받고 있는 것 같아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문재훈 자치행정국장은 “그날 서울에서 민주평통 중앙회장 취임식 등의 행사가 늦게까지 열리는 등 주요 일정이 중복되면서 내가 과장, 팀장 들에게 다른 일정에 충실하라고 지시해서 그런 일이 벌어졌다”면서 “우려하는 부분에 대해 걱정이 없도록 노력하겠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