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는 것 갖고 장난치는 사람은 용서 못한다는 말에 공감하지 않을 사람은 없다. 세상에 먹지 않고 사는 사람은 없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먹을거리는 곧 생명이다. 그러나 잘못된 먹을거리는 생명을 해치기도 한다. 최근 사람들의 관심사는 웰빙 먹을거리이다. 농약과 비료를 사용하지 않는 유기농 농작물과 스트레스를 받게 하지 않고 키운 축산물이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이다. 특히 아이를 키우는 부모의 입장에서 유전자를 변형시키고 공해나 농약에 물들지 않은 건강한 먹을거리를 구입하는 것은 당연시되고 있다. 대형마트에서도 유기농 코너는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가격이 비싼 편인데도 불구하고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식당에서 파는 음식들이다. 가정에서야 유기농 식품 등 안전한 먹을거리를 골라 직접 조리해 먹을 수 있지만 식당의 음식 재료는 주인이나 조리원 밖에 알 수가 없다.
값싼 중국산을 쓰는지, 농약이 잔뜩 함유된 채소를 사용하는지, 유통기한이 지난 재료를 조리하는지 손님의 입장에서는 알 수가 없는 것이다.
그래서 관계 당국의 강력한 단속이나 소비자 단체의 감시, 식당 주인의 양심에 맡길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단속반이나 소비자 단체원들이 한 식당에만 상주할 수도 없기 때문에 상시단속은 불가능하다. 쉽게 말해서 국민들은 그냥 믿고 사먹을 수밖에 없다는 말이다.
경기도가 음식을 비위생적으로 취급하거나 원산지를 속이는 ‘불량 음식점’의 위치와 상호를 인터넷에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여름철 음식점 식중독 예방을 위해 일반음식점, 휴게음식점, 위탁급식, 집단급식소를 대상으로 특별점검을 실시한 후 법규 위반 업소명과 위치를 공개한다는 것이다.
도는 적발된 업소에 영업정지 등 강력한 행정조치만 내리는 것이 아니라 행정처분이 확정된 업소는 경기도 홈페이지에 업체명, 위치 등 위반내역을 공표하고 개선될 때까지 특별관리 대상업체로 관리할 방침이라고 한다.
도가 위반 업소명과 위치를 공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인데 식품의 위생적 취급 여부, 무신고·무표시 식품, 유통기한 경과제품 사용, 개인위생관리, 영업자 준수사항, 원산지표시 준수 여부 등 위생분야 전반이며 필요시 수거검사도 병행할 방침이란다.
우리가 원하는 것은 한시적인 단속과 위반업체 공개가 아니다. 도민건강을 위해서 단속 인력을 늘려서라도 상시단속을 실시해야 한다. 아울러 위생 사각지대에 대한 단속도 집중적으로 실시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