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8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근당의고전] 행백리자반어구십

 

백리길을 가려면 90리를 반으로 한다.

처음은 쉽지만 끝맺기가 어려우므로 비유된 말이다. 백리(百里)의 반(半)을 50리(里)가 아니라 백리를 가는 사람이 90리를 가서도 아직 절반밖에 안왔다고 여긴다는 말.

중국 전국시대에 진(秦)나라가 세력이 커져 강국이 되자, 왕은 자만심에 빠져있는데 한 신하가 다음과 같이 충고를 했다.

지금 대왕께서는 위(魏)와 조(趙)나라를 얻은 것에 만족하시고 제(齊)나라를 잃은 것은 너무 가벼이 생각하시는 것 같은데 시경(詩經)에 “처음은 누구나 잘하지만 끝까지 좋게 마무리 하는 사람은 적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선왕(先王)께서는 모두 처음과 끝을 존중하여 대성하였습니다. 이에 반해 처음 잘하고도 끝을 완수하지 못한 경우가 역사상에 얼마든지 많이 있습니다. 대왕께서 천하통일의 대업을 추진하여 유종의 미를 걷우시면 천하의 삼왕(三王)에 대왕을 더해 사왕(四王)이라 찬양할 수 있고 춘추오패(春秋五覇)에 대왕을 넣어 육패(六覇)라 해도 무방한 것입니다. 잘하지 못하신다면 사람들은 대왕을 비참한 말로를 본 이들과 동일시한 것이 틀림없습니다. 시경에 行百里者半於九十(행백리자반어구십)처럼 유종의 미를 걷우는 일이 어마나 어려운 것인가를 말해주는 것입니다. 지금 대왕께서는 자만하고 계시오나 적들은 침략의 기회를 엿보고 오늘의 우군이 내일의 적이 되는 난세인 것입니다. 자만하여 태평하게 있을 때가 아닌줄 아옵니다 하였다./근당 梁澤東(한국서예박물관장)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