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자체 기후위성을 띄워 기후변화 대응의 새 전기를 연다.
도는 오는 11월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우주군기지에서 ‘기후위성 1호기(GYEONGGISat-1)’를 발사할 예정이라고 8일 밝혔다.
위성은 지구 저궤도에서 3년간 운용되며 도 전역의 기후·환경 데이터를 정밀 수집한다.
사업은 김동연 도지사가 지난해 8월 임기 후반기 중점 과제로 제시하며 추진됐다. 도는 같은 해 10월 기본계획을 수립했고 올해 2~3월 개발·운용 기관을 선정했다. 7월에는 위성 개발을 완료하고 9월 탑재체 항공시험까지 마쳤다.
이는 지방정부가 주도해 기후 대응 위성을 개발한 국내 첫 사례다.

기후위성은 광학위성 1기와 온실가스 관측위성 2기로 구성된다. 이번에 발사되는 1호기는 ▲토지이용 현황 모니터링 ▲온실가스(메탄) 배출원 식별과 배출량 추정 ▲홍수·산불·산사태 등 기후재난 피해 관측에 활용된다.
도는 위성 운영을 통해 네 가지 정책 효과를 달성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온실가스 배출원을 정밀 감시하고 ‘온실가스 관측 지도’를 제작해 과학적 기후정책을 수립한다. 산업단지 메탄 누출 지점 관측, 농업·축산업 배출량 관리, 재난 대응 지원도 가능하다.
또 유럽연합(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국제 규제 강화에 대응해 도내 기업의 탄소 배출량 실측과 저감 대책 마련에 기여한다.
수집한 데이터는 민간에 개방해 기후테크 스타트업 발굴과 관련 산업 육성에 활용할 예정이다. 아울러 국내외 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국제적 기후정책 교류를 확대하고 국가 우주산업 정책에도 힘을 보탤 전망이다.
[ 경기신문 = 류초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