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주민투표 투표율 미달시 시장직에서 사퇴하겠다고 선언하자 여야를 막론하고 반대의견이 지배적이다. 한나라당은 일단 주민투표 지원체제를 유지해 간다는 방침을 세웠으나 내부적으로 반발이 이어지고 있고, 민주당은 ‘투표율을 높이려는 정치놀음’이라고 비난하며 투표 불참 운동을 가속화하고 있다. 황우여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최선을 다해 서울시민과 함께 이기는 방법으로 가야 한다”며 “당의 총력 지원 기조는 그대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오 특임장관은 “개인적으로 만류했지만 오 시장이 어려운 결정을 한 만큼 당이 하나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한나라당은 남은 이틀 동안 투표참여 운동에 총력을 기울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당내 반발도 만만치 않다. 남경필 최고위원은 “오 시장의 결정을 단호히 반대한다”며 거취를 당과 재논의할 것을 주장했고, 소장파인 구상찬 의원은 “한나라당이 ‘오세훈 당’이냐”고 반발했다. 민주당은 반대의견 일색이다. 손학규 대표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어린이들의 밥그릇을 볼모로 주민투표를 위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진표 원내대표도 “며칠 전에는 누가 물어보지도 않았는데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더니 이번에는 시장직을 걸고 정치도발을 했다”고 비판했다. 오 시장과 같이 정치적 생명을 걸라고 종용받고 있는 곽노현 서울시교육감도 “의도로 보나 내용으로 보나 유감스럽기 짝이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회창 자유선진당 전 대표는 “큰 정치문제가 됐고 결과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기 때문에 오 시장으로서는 할 만한 결정이라고 본다”고 했다. 여권의 속내는 복잡하다. 자칫 잘못될 경우 서울시장직을 야권에 넘겨줄 수 있고, 이는 내년 총·대선에서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곤혹스러워하는 분위기다. 이른 예측이기는 하지만 논쟁의 핵심은 보궐선거 시기가 오는 10월이냐 내년 4월이냐다. 오 시장이 주민투표에서 패배해 9월30일까지 사퇴할 경우 10월26일에, 그 이후에 사퇴하면 내년 4.11 총선과 함께 보궐선거가 각각 치러지게 된다. 오 시장은 당 부담 최소화를 위해 사퇴시기는 조정할 가능성이 있다. 보궐선거가 10월에 치러질 경우 사실상 총선과 대선 전초전으로 해석되면서 여야 대선 주자들의 발걸음이 한층 빨라질수도 있다. 이러한 관측을 깨고 오 시장이 주민투표에 성공하면 얘기는 달라진다.
/안병현 논설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