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전 대표는 이날 국회 귀빈식당에서 미국이 외교전문 격월간지 ‘포린어페어스’ 9·10월호에 자신의 기고문을 게재한 것을 계기로 외교·안보분야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제가 이번에 제시한 것은 한반도에 평화를 정착시키고 번영을 이루자는 궁극적인 목표는 같다고 할 수 있지만, 유연할 때에는 더 유연하고 단호할 때는 더 단호함으로써 안보와 교류, 남북관계와 국제공조 사이의 균형을 잡아간다는 점에서 접근 방식에서 (현 정부와) 다를 수 있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그는 천안함 폭침사건과 연평도 포격 사건에 대해서는 “우리 국민의 안위에 관한 것으로 인명이 많이 희생됐는데 아무 일도 없었다는 식으로 넘어갈 수는 없는 일”이라며 “북축에서 국민이 납득할 만한 조치가 없다면 아무리 노력하려 해도 의미있는 남북관계를 이뤄나가기는 어려운 일”이라고 밝혔다. 그는 남북정상 회담에 대해서는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반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