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들이 빠듯한 살림살이를 이유로 자체 운영하는 스포츠팀을 잇달아 해체해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이철우(한나라당) 의원은 지난 23일 대한체육회 국정감사에서 2008년 이후 해체된 지자체 실업팀이 52개라고 밝혔다.
2008년에 5개, 2009년에는 6개가 해체됐고 지난해에는 26개가 사라졌다. 올 들어서도 벌써 15개가 해체 절차를 밟았다.
지자체 실업팀은 대기업들이 ‘빅4’ 인기종목인 야구, 축구, 농구, 배구를 선호함에 따라 나머지 비인기 종목 육성과 저변확대를 위해 국민체육진흥법에 따라 1989년부터 전국 각 자치단체가 창단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새 지자체들이 재정난을 이유로 팀을 없애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해에는 성남시체육회가 복싱, 탁구, 배드민턴, 궁도, 레슬링, 테니스, 씨름, 유도, 핀수영, 빙상 등 모두 10개의 실업팀을 줄줄이 해체했다.
올해에는 용인시 체육회가 역도, 정구, 보디빌딩, 우슈, 배구 등 5개 실업팀을 없앴다.
이 의원은 지자체 실업팀 해체는 결국 ‘돈’ 문제인 만큼 정부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대한체육회가 시·도 체육회에 지급하는 예산은 연간 20억원이 채 되지 않는다”며 “지자체의 예산만으로 팀을 꾸리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지자체 실업팀은 대부분 기초 종목이어서 해체가 늘게 되면 선수층이 얇아져 전반적인 체육 수준의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이 의원은 “이런 식으로 지방체육이 고사하면 4~5년 만에 우리나라 스포츠 경쟁력은 급격하게 추락하고 말 것”이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