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삶과문화] 지역 공공아트센터 존재감과 역할

 

지역의 마을회관의 개념에서 출발한 문화집회시설이 문예회관이라는 과정을 거쳐 이젠 평생교육센터인 개념을 도입한 아트센터로 변모하고 있다. 그리고 예술생산자인 예술가와 예술단체, 문화소비자인 지역관객의 중간 매개자로서 기능하는 예술경영이 도입되고 아트센터 운영에 반영되고 있다.

지난 1990년대 중반부터 불기 시작한 한국의 지역 문화시설 건설 붐은 예술경영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 과연 어떤 역할과 가능을 해야할 것인가를 고민하게 만들었다. 사실 지역 문화시설의 건설과 이에 따른 예술경영의 등장은 앞으로 지역 예술단체 성장 동력에 큰 힘이 앞으로 될 것이라는 것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다만, 현재 가장 시급한 사안이 문화를 소비할 수 있는 관객층들이 지역에서는 아직 든든하게 구축되지 않은 관계로 이를 잘 소비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일도 중요한 일이 될 것이다.

여기에서 지역 아트센터는 지역민들의 진정한 문화예술 수요 창출이라는 고민이 시작된다. 대부분의 문화예술의 정책과 콘텐츠의 중심은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공공 아트센터는 지역의 아트센터가 왜 만들어져야만 하고, 설립취지는 무엇이고 조직 구성원들이 어떤 미션을 공유해야 하며 어떤 운영방침을 통해 어떤 방향성으로 가야하는가에 대해 가중치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역 공공 아트센터의 문화예술 콘텐츠를 통해 최우선 과제인 지역민들에게 문화후생복지지수를 충족시키며, 지역문화의 활동 거점으로서 지역민들에 문화향수의 확대하는 것을 예술경영에 도입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지역의 문화재단에서 운영하는 아트센터의 비전과 미션을 지역의 문화자본력과 결합하고, 그것을 향상·발전시킨다는 세부 실행운영 방침에 따라 운영의 묘미를 살릴 수 있을 것 같다.

지방 아트센터 운영시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고 생각한다. 부담이 없이 만남을 즐길 수 있는 커뮤니티공간으로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많은 시민이 지역 문화 살롱으로서의 거점이고 ‘커뮤니티 공간’이다. 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지역의 가치를 생산하는 창조적 활동 거점이다. 시민들이 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감성을 훈련받을 수 있는 기타의 시민들과 만남을 통해 문화예술을 감상할 수 있는 창조시설로서의 ‘놀이터’다.

신나는 문화 예술의 체험을 통해 지역에 자부심을 함께 키울 수 있는 장소이다. 지역의 문화원형의 정체성 그리고 최첨단의 공연, 예술교육, 전시의 감상을 통해 문화 예술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공간으로 감동충전소로서 문화공간 그리고 문화예술을 통해 활기찬 지역사회를 만드는 동기부여를 아트센터가 만들너내는 것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또한 지역의 아트센터는 시민과 공연 예술과 만남 장소이다. 모든 장벽을 제거해 지역민들이 문화시민으로 ‘삶의 질’을 높여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문화예술만이 가질 수 있는 유연하고 새로운 발상들이 열정을 가진 직원들을 통해 지속적으로 지역에 제공돼야 한다. 따라서 집회시설(정치 공학적 목적), 관리시설(행정 통합적 목적), 창조시설(전문적 열정)이 소통되고 아트센터가 문화공동체 공간으로서 공감할 수 있는 합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지역 아트센터의 존재감이 부각되기 위해서는 예술경영에 있어 늘 ‘왜 이것을 해야 하는가’에 대해 의문을 갖고 고민하는 발상의 힘에 의해 주변부는 아트센터를 통해 새로운 변화를 가져다 줄 것이다. 그것은 공동 아트센터의 역할이기도 할 것이다.

/조경환 부평아트센터 관장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