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어달 전에 인천시 고위 관계자를 만났다. 그는 대화 가운데 “송영길 인천시장은 생색나는 사업을 하기는 틀렸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취임과 동시에 남겨진 인천시의 엄청난 빚 때문에 송 시장은 직원들 월급주기도 급급할 것이라는게 그 이유다.
그 관계자를 지난 주 다시 만났다. 그는 역시 앉자마자 한숨을 내쉬었다. 이제는 인천시의 빚이 턱밑까지 차올라 숨쉬기도 곤란한 지경이라는 설명이다.
인천시가 빚더미 속에서 허덕이더니 부도위기에 몰린 것이다. 인천시 전체의 지난해 말 기준 부채는 7조7천697억원이다. 이자만 3천700억원을 헤아린다. 또 지금 같은 추세로 인천시의 빚이 늘어나면 올해 말에는 부채가 9조3천655억원에 달하고 2012년에는 10조원을 웃돌 것이라는게 인천시 관계자들의 어두운 전망이다.
특히 인천시의 예산대비 채무비율은 38.9%로 내년이면 이 역시 40%가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주목할 점은 예산대비 채무비율 40%는 정부가 지정하는 ‘재정위기 지방자치단체’의 기준이라는 것이다. 행정안전부의 심사를 거쳐 인천시가 ‘재정위기 지방자치단체’로 지정되면 지방채 발행과 신규 투자와 융자사업 등이 제한되고 일정 규모이상의 사업 역시 추진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인천시 최대 현안사업인 2014년 인천아시아경기대회의 정상적인 개최가 위협받고 인천교통의 최대 숙원사업인 인천도시철도 2호선 등이 표류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결국 전임 시장 등이 저지른 원죄를 갖고 출범한 ‘송영길의 인천호’가 좌초의 위기를 맞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인천호의 좌초는 정치인 송영길의 실패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인천시민 모두를 피해자로 내몬다는 점이다. 인천시의 미래를 열어갈 핵심사업의 진행에 결정적인 타격을 가할 ‘재정위기 지방자치단체’ 지정을 모면하기 위해 인천시가 뛰고 있다.
이제는 인천시민 모두가 정치적 타산에서 벗어나 현실을 직시하고 행동에 나설 때이다. 구한 말 일제에 맞서 민족정기를 드높였던 ‘국채보상운동’과 같은 시민운동도 필요할 것이다.
/김진호 인천편집경영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