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의 경우 올해 기준으로 83개의 크고 작은 축제가 있다. 마을단위 축제까지 포함한다면 아마도 수백개는 될 것이다. 이 가운데 마을축제는 마을 대동화합과 정체성 확립을 위한 것으로 권장할 만 하다. 특히 도시 사람들은 이웃이 누군지 모르는 채 몇 년씩 살고 있기 때문에 마을 축제를 통해서라도 안면을 익힐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각 지자체에서 실시하는 대규모 축제는 다시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과다한 예산에 비해 소득이 없는 축제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국제’라는 이름이 붙은 축제는 더욱 심하다. 도내에서는 수원화성국제연극제 등 12개 축제가 국제단위 행사로 치러진다. 그러나 이름만 ‘국제’지 외국인인 출연진만 있고 외국인 관람객은 별로 없는 경우가 대다수다. 각 지자체들은 국제축제를 개최하는 명분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문화산업 발전’을 내걸고 있다. 비단 경기도 뿐 만이 아니다. 전국 각지에서 너도나도 ‘국제’를 행사 명칭으로 붙이길 좋아한다. 이에 정부는 국제행사 중 국비 지원이 10억원 이상인 경우 통제를 하고 있다.
과거 지자체들이 신청한 국비는 대부분 지원이 이뤄져 왔으나 국무조정실 소관이던 국제행사 심사가 기재부로 이관되면서 정부 승인기준이 강화된 것이다. 보도(본보 5일자 3면)에 따르면 기재부로 업무가 이관되면서 경기도와 도내 지자체들의 국제행사의 정부 승인은 최근 4년간 3건에 그쳤다고 한다. 특히 지난 2일 성황리에 막을 내린 2011 세계유기농대회조차 정부 승인이 부결되기도 했다. 심사위는 공익성 부족과 내년에 전남에서 열리는 ‘2012 국제농업박람회’ 등 유사 행사 개최 등으로 인해 승인을 부결처리하나 것이다.
도민 입장에서는 세계유기농대회 승인이 부결된 것이 안타까울 수밖에 없으나 정부의 입장도 이해는 된다. 지자체의 방만한 국제행사를 방지하기 위해 10억원 이상의 국비 지원이 필요한 국제행사를 대상으로 심사해 국비를 지원하고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심사기준이 엄격해지면서 오히려 국비를 요구하는 지자체들이 줄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지자체들은 아예 대규모 행사에도 정부 승인을 신청하지 않고 자체 예산으로 국제 행사를 치른다는데 있다. 이는 결국 지역주민들의 부담으로 이어진다. 각 지자체에서는 전문가들의 연구결과를 검토해 심사숙고하고, 시민사회의 동의를 얻은 다음 국제행사를 개최하기 바란다.